그림효과에 대해 질문 했었는데 좀 답변이 말도 안된다고 느껴져서 그냥 PSD파일 올림니다.
이미지 예를 들어서 답변해주신 것 잘 보았으나 제가 직접해봤을때는 그런 차이는 없었습니다.
그리고 제 생각 질문 더 있는데,
그냥 출력형태나 문제에서 그림효과 대충 보고 넣고 해서
육안으로 맞겠다 싶은것에다 효과를 넣으면 안되나요? 제시된 되로 하는 거 잖아요.
출제자가 원하는 형식으로 안했을시 감점요소가 되는 건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전 질문(726번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처리조건>과 동일하게 이미지에 스타일을 적용했을 때와 원 모양에 스타일을 적용했을 때의 차이를 구분해서 보여 드렸습니다.
이와 같이 <처리조건> 만으로 어느 부분에 스타일을 적용해야 할지 파악이 어려운 경우에는 직접 스타일을 적용해 보면서 <출력형태>와 비교해 동일하게 작성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답변에 방향이 질문 주신 분의 의도와 다르다면 불편하시더라도 전화(02-323-0922)를 주시면 질문을 좀더 확실히 파악하여 자세한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명확히 처리조건으로 어떤 기능을 사용하라는 것 외에는
작업의 방법은 관계가 없이 제시된 <출력형태>와 동일하게 결과물을 만들면 감점은 되지 않습니다.
최종적으로 채점 대상이 되는 것은 결과물이기 때문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4-07-25 10:35:45
안녕하세요.
이전 질문(726번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처리조건>과 동일하게 이미지에 스타일을 적용했을 때와 원 모양에 스타일을 적용했을 때의 차이를 구분해서 보여 드렸습니다.
이와 같이 <처리조건> 만으로 어느 부분에 스타일을 적용해야 할지 파악이 어려운 경우에는 직접 스타일을 적용해 보면서 <출력형태>와 비교해 동일하게 작성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답변에 방향이 질문 주신 분의 의도와 다르다면 불편하시더라도 전화(02-323-0922)를 주시면 질문을 좀더 확실히 파악하여 자세한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명확히 처리조건으로 어떤 기능을 사용하라는 것 외에는
작업의 방법은 관계가 없이 제시된 <출력형태>와 동일하게 결과물을 만들면 감점은 되지 않습니다.
최종적으로 채점 대상이 되는 것은 결과물이기 때문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