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2010 이구요 답은 전부다 실제 시험장에서의 기준으로 부탁드려요!
1. 기출문제 풀 때 문제 4번 그리기 문제 인데요
글상자 이용해서 선(점선) 이 부분 있잖아요
그러면 점선 클릭 한 후 눈금 미리 0.3으로 실제 시험에서 지정해줘도 안틀리는 건지요
2. 차트 부분에서 출력형태와 똑같이 하시오 부분인데요
가로축에 보면 어떤 문제는 눈금 바깥쪽으로 표시 되어 있더라구요
여기서 눈금 바깥쪽 표시하고 pt 를 출력형태 길이에 맡게 15로 지정해줘서 출력형태처럼
길이 맞춰야 되나요 아니면 그냥 안전하게 냅둬야 되나요?
3. 이번에도 차트 부분인데 엑스 와이축 선이 좀 진해 보이면 똑같이 그 선색도 검은색으로 설정한다음에
맞춰줘야되나요? 아니면 그냥 그대로 냅둬도 정답인가요?
4. 문서작성부분에서 한동안 모의 기출 풀면서 그림 삽입하고 글자 끝라인도 책이랑 잘 맞아떨어졌는데
이번에 기출6회 풀면서 처음알게된게 라인이 안맞더라구요 정답 열어서 보니까..
스페이스 2번으로 되어있고 책도 다시 보니까 스페이스 2번 누르라고 되어있더라구요..
워드랑 다르게..
알트+티 누르고 들여쓰기 10 으로 설정해서 해야되나요 아니면 그냥 스페이스바 딱 2번만 누르는게
정답인가요?? (실제시험장 기준으로)
5. 4번 글상자 입력하는 부분 문제인데요
책에서 분명 글상자 선 모양은 파선인데 문제에서는 점선으로 요구 했더라구요 그래서 점선으로하고
0.3으로 하고 했는데 정답 보니까.. 정답에선 또 파선으로 설정해놨는데..
도대체 어떤걸로 해야지 정답인가요??
실제 시험장에서도 만약에 책에서는 파선모양인데 지시사항이 선(점선) 일경우 어떻게 해야되나요
6. 기출문제 9회 10회인데요..
제목 쓴다음에 엔터 두번 누르는거아닌가요?? 즉 한 줄 띄고 그담 본문쓰는거아닌가요..
왜 9회 10회만.. 줄 안띄고 쓰는건지
확실히 알고싶은데 자꾸 헷갈리네요..ㅠ 기출 정답 막 이상하게 되어있는것도 있고
7. 마지막줄 큰 제목 쓸 때 줄 두번뛰우는거 맞죠??
표 작성후
바로 밑에줄에 - ~~~~ 글쓰고 그담엔터 3번 누르고 (- 하이픈이 또 자동 표시되는경우 포함해서) 마지막줄 제목 쓰는거맞죠
안녕하세요.
채점과 관련된 사항은 시행처에서 자세한 채점 기준이 공개되지 않아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는 어렵습니다.
단 시험을 응시한 응시자에 한해 시행처에 점수 세부 내역 확인을 요청하면 자세한 답변을 얻을 수는 있습니다.
1)
굵기가 제시되지 않으므로 점섬 형태만 지정하면 됩니다.
2)
지시사항에 없이 출력형태로 보고 판단하는 내용에 대한 기준은 공개되지 않아 알수는 없지만 시간만 충분하다면 출력형태와 최대한 맞춰 주는 것이 좋습니다.
3)
그냥 두셔도 됩니다.
4)
예 스페이스로 두 번만 누르시면 됩니다.
5)
점선이든 파선이든 끊어진 형태의 선 유형으로만 지정하시면 됩니다.
6)
문제지를 보고 판단하시면 됩니다.
1~8회와 9,10회는 문서 제목 아래쪽의 빈 공간의 너비가 다르니 이를 보고 한 줄을 띄는지 띄지 않는지 파악하여 동일하게 작성하시면 됩니다.
7)
이 또한 문제지에 한 줄인 경우와 두 줄인 경우의 간격이 다르므로 작성한 문서와 문제지의 간격을 보고 동일하게 맞추시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4-05-07 10:14:12
안녕하세요.
채점과 관련된 사항은 시행처에서 자세한 채점 기준이 공개되지 않아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는 어렵습니다.
단 시험을 응시한 응시자에 한해 시행처에 점수 세부 내역 확인을 요청하면 자세한 답변을 얻을 수는 있습니다.
1)
굵기가 제시되지 않으므로 점섬 형태만 지정하면 됩니다.
2)
지시사항에 없이 출력형태로 보고 판단하는 내용에 대한 기준은 공개되지 않아 알수는 없지만 시간만 충분하다면 출력형태와 최대한 맞춰 주는 것이 좋습니다.
3)
그냥 두셔도 됩니다.
4)
예 스페이스로 두 번만 누르시면 됩니다.
5)
점선이든 파선이든 끊어진 형태의 선 유형으로만 지정하시면 됩니다.
6)
문제지를 보고 판단하시면 됩니다.
1~8회와 9,10회는 문서 제목 아래쪽의 빈 공간의 너비가 다르니 이를 보고 한 줄을 띄는지 띄지 않는지 파악하여 동일하게 작성하시면 됩니다.
7)
이 또한 문제지에 한 줄인 경우와 두 줄인 경우의 간격이 다르므로 작성한 문서와 문제지의 간격을 보고 동일하게 맞추시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