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서식-표시형식-사용자지정에서
5H은 [0"H"]
12만9000원은 [##"만"####]이렇게 입력하면 되는데
241페이지 기출 05회 (수강료) G5:G12 셀서식보면
150,000원은 [###,###"원"]이렇게 하면 틀린거고 [#,##0"원"]이게 정답이라고 되어있다.
[#],[0]의 차이점을 알려주세요
정렬-숫자및 회계서식은 오른쪽, 나머지서식은 가운데 정렬
123페이지 01모의고사
(가격) [F5:F12]은 사용자 서식인데 오른쪽 정렬
(합계금액) [H5:H12]은 회계서식인데 가운데 정렬
숫자이고 회계서식 적용되어있는데 둘다 오른쪽 정렬아닌가요?
134페이지 02모의고사
(생년원일)[I5:I14]은 가운데 정렬
함수사용하였는데 오른쪽 정렬아닌가요?
144페이지 03모의고사
(지점 전체의 매출 증가액 합계)[J15]은 가운데정렬
합계면 숫자인데 오른쪽 정렬아닌가요?
165페이지 04모의고사
(대여신용등급 3등급이고 대여중인 고객수) [E14] 가운데정렬
(대여중인 회원수) [J14] 오른쪽 정렬
함수를 이용하여 구한 값이고 숫자인데 둘다 오른쪽 정렬아닌가요?
213페이지 01기술
(총급여) [J5:J12] 가운데 정렬
급여는 함수를 이용해서 구한 숫자인데 왜 오른쪽 정렬아닌가요?
220페이지 02기술
(관람가능 좌석수) [F5:F12] 가운데정렬
(관람료) [G5:G12] 가운데정렬
(예매수량) [H5:H12] 가운데정렬
출력형태에 맞춰서 전부다 오른쪽 정렬로 두어야하는게 아닌가?
(관람등급) [I5:I12] 가운데정렬
165페이지04모의고사 (잔액순위)[I5:14]오른쪽 정렬이다 왜 같은 서식이고 같은 함수인데 정렬이 다른가요?
(예매수량 평균이상인 공연명의 개수) [E14] 가운데정렬
숫자이고 함수를 이용하여 구한값인데 오른쪽 정렬아닌가?
227페이지 03기술
(연식) [I5:I12] 가운데 정렬
함수를 이용하여 구한 함수인데 왜 오른쪽 정렬이 아닌가요?
234페이지 04기술
(경기비율) [I6:I13] 가운데정렬
(전제 육지면적 평균보다 작은 국가수) [E14] 가운데 정렬
둘다 함수를 이용했고 숫자인데 왜 오른쪽 정렬이 아닌가요?
모든문제지에는 정렬-숫자및 회계서식은 오른쪽, 나머지서식은 가운데 정렬 하라고 되어있는데
같은 서식이고 같은 숫자라도 이문제에서는 가운데 정렬 ,저 문제에서는 오른쪽 정렬인지 모르겠습니다.
자세히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서식 0은 셀 값이 0일 경우 0으로 표시할 때 사용하고, #은 표시하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 문제에 이에 대한 지시가 있다면 지시를 따라야 하지만 이런 지시가 없다면 어떤 서식을 사용하든 실제 시험에서는 상관 없습니다.
2. 우선 정렬은 다음의 사항을 따라야 합니다.
답안작성 지시사항에 ‘숫자 및 회계 서식은 오른쪽 정렬’이라는 항목이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숫자 서식’은 표시 형식 없이 숫자만 입력된 셀을, ‘회계 서식’은 통화(₩)나 쉼표(,) 기호가 적용된 셀을 말합니다. 즉 이 두 서식은 ‘오른쪽 맞춤’을 지정하고, 그 밖에 백분율(%), 날짜, 시간, 사용자 지정 서식 등은 ‘가운데 맞춤’을 지정하면 됩니다. 하지만 이 기준은 기본적인 사항이고, 문제에 제시된 [출력형태]가 우선입니다. [출력형태] 대로 답안을 작성하되 [출력형태]를 보고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에만 이 기준을 적용하여 정렬하면 됩니다.
123쪽의 가격은 출력형태가 오른쪽으로, 합계는 가운데 정렬로 되어 있어서 출력 형태를 따른 것입니다.
134쪽과 144쪽은 결과가 문자형태로 표시되었기 때문에 숫자 형식은 아닌 것입니다. 그래서 이 경우 사용자 지정 서식처럼 가운데맞춤을 하는 것입니다.
165쪽에서 e14는 사용자 지정서식과 같이 적용해야 합니다.
213페이지 (총급여) [J5:J12]는 회계 서식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회계 서식을 지정하면 자동으로 오른쪽 맞춤이 됩니다. 셀의 너비를 늘려보시면 오른쪽 정렬인지 아닌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설정은 가운데로 그냥 있지요. 실제 시험에서는 출력형태가 동일하면 정답으로 인정하기 때문에 정답 파일의 설정까지 오른쪽으로 지정해주지는 않은 것입니다. 이렇게하면 시간을 소비하기 때문이죠.
관람가능 좌석수) [F5:F12], (관람료) [G5:G12] 도 정답 파일이 오른쪽으로 되어 있습니다. 예매수량은 사용자 지정 서식처럼 가운데 정렬 하는 것이 맞습니다.
관람등급, (예매수량 평균이상인 공연명의 개수) [E14], (연식) [I5:I12] 도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결과가 숫자가 아니라서 그렇습니다.
(경기비율) [I6:I13]은 %로 표시되는 백분율이기 때문이고, (전제 육지면적 평균보다 작은 국가수) [E14]는 문자로 표시되기 때문입니다.
행복한 2016년 맞으시기 바랍니다.
- 
                                    *2015-12-31 11:08:21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서식 0은 셀 값이 0일 경우 0으로 표시할 때 사용하고, #은 표시하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 문제에 이에 대한 지시가 있다면 지시를 따라야 하지만 이런 지시가 없다면 어떤 서식을 사용하든 실제 시험에서는 상관 없습니다.
2. 우선 정렬은 다음의 사항을 따라야 합니다.
답안작성 지시사항에 ‘숫자 및 회계 서식은 오른쪽 정렬’이라는 항목이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숫자 서식’은 표시 형식 없이 숫자만 입력된 셀을, ‘회계 서식’은 통화(₩)나 쉼표(,) 기호가 적용된 셀을 말합니다. 즉 이 두 서식은 ‘오른쪽 맞춤’을 지정하고, 그 밖에 백분율(%), 날짜, 시간, 사용자 지정 서식 등은 ‘가운데 맞춤’을 지정하면 됩니다. 하지만 이 기준은 기본적인 사항이고, 문제에 제시된 [출력형태]가 우선입니다. [출력형태] 대로 답안을 작성하되 [출력형태]를 보고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에만 이 기준을 적용하여 정렬하면 됩니다.
123쪽의 가격은 출력형태가 오른쪽으로, 합계는 가운데 정렬로 되어 있어서 출력 형태를 따른 것입니다.
134쪽과 144쪽은 결과가 문자형태로 표시되었기 때문에 숫자 형식은 아닌 것입니다. 그래서 이 경우 사용자 지정 서식처럼 가운데맞춤을 하는 것입니다.
165쪽에서 e14는 사용자 지정서식과 같이 적용해야 합니다.
213페이지 (총급여) [J5:J12]는 회계 서식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회계 서식을 지정하면 자동으로 오른쪽 맞춤이 됩니다. 셀의 너비를 늘려보시면 오른쪽 정렬인지 아닌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설정은 가운데로 그냥 있지요. 실제 시험에서는 출력형태가 동일하면 정답으로 인정하기 때문에 정답 파일의 설정까지 오른쪽으로 지정해주지는 않은 것입니다. 이렇게하면 시간을 소비하기 때문이죠.
관람가능 좌석수) [F5:F12], (관람료) [G5:G12] 도 정답 파일이 오른쪽으로 되어 있습니다. 예매수량은 사용자 지정 서식처럼 가운데 정렬 하는 것이 맞습니다.
관람등급, (예매수량 평균이상인 공연명의 개수) [E14], (연식) [I5:I12] 도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결과가 숫자가 아니라서 그렇습니다.
(경기비율) [I6:I13]은 %로 표시되는 백분율이기 때문이고, (전제 육지면적 평균보다 작은 국가수) [E14]는 문자로 표시되기 때문입니다.
행복한 2016년 맞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