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급 필터링을 할 때
책을 보면 답안에 조건위치 부분에
| 매출증가율 | |
| >=0% | TRUE |
라고 되어잇습니다. 앞에서 배웠을 때 조건위치에 '조건의 이름'들을 붙이는 것으로 배웠는데
여기는 왜 조건의 이름에 [매출증가율]은 적으면서 [품목]은 기입 안하는 것인가요?
혹시나 하고 품목이라고 조건이름을 붙여보니 매출 증가율 조건만 필터링 하더군요
그리고 64쪽 고급필터 수행을 보면
| 근무지 | 계약일 |
| 서울 | |
| >=2013... |
이런식으로 [근무지] '서울'과 [계약일]의 '2013년... 이상' 을 행의 차이를 줘서 조건을 입력 했는데 이건 왜 이렇게 하는 것인가요? 조건명은 같은 행에 두면서 왜 조건 내용은 다른행에 두는 것인가여?
이것을 본 후로 고급 필터 할 때마다 조건명은 같은 행에 조건 내용은 위에 표 처럼 대각선으로 배치하는데
143페이지에는 또 조건 내용들이 같은 행에 있네요 대체 무슨 차이죠?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매출증가율과 같이 원본 데이터의 필드명과 동일한 필드명을 사용할 경우에는 원본 데이터 필드명을 그대로 입력해줍니다. 하지만 두번째 조건과 같이 어떤 수식을 이용하여 조건을 지정할 경우 원본 필드명과 다른 필드명을 지정하거나 생략하면 됩니다. 시간이나 노력을 줄이기 위해 생략한 것입니다.
2. 조건 지정 방법은 114쪽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서로 다른 행에 조건을 지정하면 or 조건입니다. a or b는 a를 만족하거나 b를 만족하는 데이터를 추출합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
*2014-11-02 23:36:29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매출증가율과 같이 원본 데이터의 필드명과 동일한 필드명을 사용할 경우에는 원본 데이터 필드명을 그대로 입력해줍니다. 하지만 두번째 조건과 같이 어떤 수식을 이용하여 조건을 지정할 경우 원본 필드명과 다른 필드명을 지정하거나 생략하면 됩니다. 시간이나 노력을 줄이기 위해 생략한 것입니다.
2. 조건 지정 방법은 114쪽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서로 다른 행에 조건을 지정하면 or 조건입니다. a or b는 a를 만족하거나 b를 만족하는 데이터를 추출합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