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고하십니다.
그 149page에서 입점품목과 계약 마진율을 조건으로 세우는데
OR함수를 이용하기는 하지만
OR함수 위에 '입점품목' 필드명을 복사하지 않는 이유는 뭔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찾아보니 142page에서도 AVERAGE 조건 위에는 '평수' 필드가 없네요?
같은 이유인 것 같은데 설명 부탁드립니다.
---------
수고하십니다.
보충설명 부탁드려도될까요? ㅠㅠ 뭔가 머리로는 이해가 가는듯 하면서
제대로 설명이 와닿지가 않아서요...
수식의 결과는 이미 계산된 값이기 때문에, 그 필드 아래에 그에 관한 것은 없다고 하셨는데...
보면 계약 마진율도 10%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그 필드에서 찾아라. 이런 말인 것 같고
그럼 같은 의미로 "제과"나 "농산물"이라고 적혀 있는 셀을 '입점품목'필드에서 찾아라 이 말이 되는 거 아닌가요?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
이전에 답변해주셨는데 보충 설명필요해서 답글 달았는데 답변이 안달리는거같아서 새로 올립니다~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or 함수를 사용한 것은 제과나 농산물 둘 중의 하나라도 만족할 경우가 조건이 됩니다. 만약 하나인 "제과"만 조건인 경우에는 원본 데이터의 필드명을 사용하지만 이것은 둘 중의 하나라도 만족하는 경우를 찾아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엑셀 내부에서 한 단계의 작업이 더 거치게 됩니다. 계약마진율 같은 경우는 바로 그 값과 비교하면 찾을 수 있지요. 이해하기 어려우시면 함수를 사용하거나 가감승제를 사용한 조건은 필드명을 원본 데이터의 값으로 사용할 수 없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
*2016-07-24 19:15:56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or 함수를 사용한 것은 제과나 농산물 둘 중의 하나라도 만족할 경우가 조건이 됩니다. 만약 하나인 "제과"만 조건인 경우에는 원본 데이터의 필드명을 사용하지만 이것은 둘 중의 하나라도 만족하는 경우를 찾아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엑셀 내부에서 한 단계의 작업이 더 거치게 됩니다. 계약마진율 같은 경우는 바로 그 값과 비교하면 찾을 수 있지요. 이해하기 어려우시면 함수를 사용하거나 가감승제를 사용한 조건은 필드명을 원본 데이터의 값으로 사용할 수 없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