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1)
쿼리 작성에 대한 질문입니다.
엑세스를 하다보면 처음에는 데이터를 보고 데이터입력을 하잖습니까....
채점기준이 이것도 출력물 기준인지요?
예를 들어 성별의 경우 M과W로 나눠지는데 입력모드를 IME 또는 숫자영전각/반각으로 해도 입력은 가능하잖습니까? 이건 큰 상관없는건지요?
질문2)
순서가 먼저 입력자료(데이터)를 보고 타이핑하고, 형식맞춰서 작성 후 저장 -> 쿼리작성(문제2,3에 맞도록 작성 + 데이터를 다음 문제풀이에 맞도록 하기) -> 입력화면(스크린)설계 -> 보고서 작성
이런 순으로 되는 것 같습니다. (맞는지요?)
그런데 다른것보다 쿼리가 문제가 되는데요... 쿼리가 틀리면 그 후에 다 틀리는 것이 나오잖아요...
시나공 실기교재를 보면 쿼리작성은 거의 문제3위주로 되어있더라구요...
예를 들어서 기출문제2회에 비추어 보면...
[문제2는 성별=남, 성명=김민하](필요데이터: 학년, 반, 성별, 신장, 체중,이름(조건때문에))
[문제3은 학년 >=4](필요데이터:학년, 반, 성명, 현주소, 신장, 체중, 성별)
이렇게 되던데요.
쿼리작성할때 시나공교재는 문제3에 비추어하기때문에 쿼리작성시부터 학년을 4,5,6으로 조건부를 두는 것 같습니다. 만약에 이렇게 안하고 쿼리작성할때 그냥 조건전혀없이 처음에 작성했던 문제1의 입력자료만 갖고 순수하게 문제2,3을 풀기위한 쿼리, 즉 형식만 맞도록하되, 조건은 놔두는 방식으로 할 경우 문제가 생기는 지 알고 싶습니다.
다시 간단히 말하면 문제3을 위한 쿼리를 만들되, 조건부 없는 쿼리 작성으로 만들고, 문제2에서 조건에 맞도록 형식에서 바꿔주고, 문제3에 들어가서 쿼리를 이용하되 그때 보고서화면에서 조건을 시켜주면 안되는가 하는 질문입니다...
(상당히 복잡하네요...;;; 이해하셨으리라 생각합니다...)
질문3)
P69에서 작성일자 : yyyy-mm-dd를 쓸 때, date를 쓰시던데 now()로 쓰고 형식만 바꿔도 되는지요?
질문4)
막 처리를 하다보니 문제1 입력자료(데이터)에서 길이(255 또는 long(정수))등을 잘 잡아주면 보고서할때 안잘리고 자칫 잘못하면 보고서를 다시 만들어줘야 되는 일이 생기더라구요...
한글 자모음은 2로 잡고, 영문, 문자는 1로 잡아서 문자길이를 해도되는건가요?
예를 들어서 학년-반의 경우 5-1이면 길이를 10으로 해도 되겠죠?
현주소 서울시 마포구 용강동의 경우 사용자 마음대로 20정도로 잡아도 되는건가요?
보고서 작성할때 총평균 총합계 레이블과 함께 안뜨는 경우가 있어서 혼란스럽긴합니다...
질문5)
쿼리나 기타 필드, 폼 작성후에 이름을 넣으라고 할때는 그냥 기본으로 나오는 영문자 그대로 엔터쳐버려도 되는지요? 시나공에서는 보고서로 입력하라. 그냥 입력하라. 랜덤인듯 한데요...
이것도 채점대상인지요?;;;;
안녕하세요.
전체적인 질문을 보니 채점 기준을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채점 기준은 출력물입니다. 출력물의 출력형태를 만드는 방법이 고정된 것이 아니므로, 쿼리에 조건을 주던 보고서에서 직접 조건을 주든 관계가 없습니다. 가장 최종적으로 만들어지는 출력물이 문제에서 요구한 조건들만 모두 적용되면 되는 것이죠.
교재에 제시된 방법은 여러가지 방법 중 일반적인 방법 하나만을 제시한 것이므로 꼭 교재의 방법대로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1), 2), 3)번 질문이 모두 말씀하신 데로 하셔도 됩니다.
단 4)번은 화면에 제시된 폼의 그림에서 캡션이 제시된 경우 캡션의 내용대로 저장을 하면 자동으로 캡션이 설정되므로 이름을 제시된 캡션대로 하지만 이 방법도 이름은 Form1으로 저장하고 속성의 캡션에 직접 제시된 캡션명을 작성해도 됩니다.
즉 꼭 이름을 제시된 대로 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죠. 폼 이름에 대한 조건은 제시되지 않으니까요.
정리하자면 사무자동화산업기사 실기 시험은 출력물로 채점을 수행합니다. 그러니 어떤 방법을 사용하든 제시된 출력형태와 최대한 유사하게 만들면 됩니다. 단 제시된 조건들은 만족을 시켜야 하지만 제시되지 않는 것들은 기본값을 유지하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1-07-28 10:24:41
안녕하세요.
전체적인 질문을 보니 채점 기준을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채점 기준은 출력물입니다. 출력물의 출력형태를 만드는 방법이 고정된 것이 아니므로, 쿼리에 조건을 주던 보고서에서 직접 조건을 주든 관계가 없습니다. 가장 최종적으로 만들어지는 출력물이 문제에서 요구한 조건들만 모두 적용되면 되는 것이죠.
교재에 제시된 방법은 여러가지 방법 중 일반적인 방법 하나만을 제시한 것이므로 꼭 교재의 방법대로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1), 2), 3)번 질문이 모두 말씀하신 데로 하셔도 됩니다.
단 4)번은 화면에 제시된 폼의 그림에서 캡션이 제시된 경우 캡션의 내용대로 저장을 하면 자동으로 캡션이 설정되므로 이름을 제시된 캡션대로 하지만 이 방법도 이름은 Form1으로 저장하고 속성의 캡션에 직접 제시된 캡션명을 작성해도 됩니다.
즉 꼭 이름을 제시된 대로 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죠. 폼 이름에 대한 조건은 제시되지 않으니까요.
정리하자면 사무자동화산업기사 실기 시험은 출력물로 채점을 수행합니다. 그러니 어떤 방법을 사용하든 제시된 출력형태와 최대한 유사하게 만들면 됩니다. 단 제시된 조건들은 만족을 시켜야 하지만 제시되지 않는 것들은 기본값을 유지하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