ㅠㅠ dsum 함수이용할때요 왜 필드명을 다르게 지정해야하고..
아 그리고 sumproduct 이거 사용하는거 진짜 모르겠아요 ㅠㅠ
어떤거는 왜 1을 곱해주고 ㅠㅠ
책에 설명이 너무 부족해요
안녕하세요.
1)
데이터베이스 함수(DSUM, DAVERAGE, DCOUNT 등)에서 조건에 함수가 사용될 때에는 데이터 범위의 필드명과 다른 필드명을 임의로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수식이 적용될 때에는 가상의 필드를 만들어서 계산한다고 생각할 수 있으며, 데이터 범위의 필드명과 동일할 경우 중복되기 때문에 결과가 표시되지 않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조건에 함수가 사용될 경우에는 데이터 범위의 필드명과 다른 임의의 필드명을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교재 2편 실전 모의고사 210쪽 왼쪽 상단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논리값은 TRUE나 FALSE로 결과라 산출되는데, 이를 TRUE를 1, FALSE를 0과 같은 수치 형식으로 사용하려면 계산 과정을 수행해야 합니다. 원래의 값인 1과 0의 변화가 없는 계산 과정을 *1을 하는 것이죠.
즉 TRUE*1은 TRUE가 아니라 1이되고, FALSE*1은 FALSE가 아니라 0이라는 수치 형식으로 변경되므로 수치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그래서 *1을 하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1-05-02 10:47:46
안녕하세요.
1)
데이터베이스 함수(DSUM, DAVERAGE, DCOUNT 등)에서 조건에 함수가 사용될 때에는 데이터 범위의 필드명과 다른 필드명을 임의로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수식이 적용될 때에는 가상의 필드를 만들어서 계산한다고 생각할 수 있으며, 데이터 범위의 필드명과 동일할 경우 중복되기 때문에 결과가 표시되지 않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조건에 함수가 사용될 경우에는 데이터 범위의 필드명과 다른 임의의 필드명을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교재 2편 실전 모의고사 210쪽 왼쪽 상단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2)
논리값은 TRUE나 FALSE로 결과라 산출되는데, 이를 TRUE를 1, FALSE를 0과 같은 수치 형식으로 사용하려면 계산 과정을 수행해야 합니다. 원래의 값인 1과 0의 변화가 없는 계산 과정을 *1을 하는 것이죠.
즉 TRUE*1은 TRUE가 아니라 1이되고, FALSE*1은 FALSE가 아니라 0이라는 수치 형식으로 변경되므로 수치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그래서 *1을 하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