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자료를 다 입력하고 답지를 봤는데 78페이지에 뭘 보고 테이블 필드 선택기를 사용하는거죠?
계산필드는 어떤것을 보고 현주소 학년에 반 이렇게 되있는데 도대체 뭘 보고 계산 필드를 추가하는건가요? 문제를 아무리 봐도 도대체 왜 이렇게 된지 이해가 안가요. 04 보고서 사용할 쿼리 작성하기 이것도 문제 1번이랑 연관되있는거 맞는거죠? 문제 1 입력자료만 보고 이렇게 많은 식을 어떻게 쓰나요? 문제 1번에서는 입력 데이터 밖에 없는데...
안녕하세요.
쿼리에서는 제시된 폼과 보고서에서 사용할 필드를 감안해서 작성해야 합니다.
폼 출력형태를 보면 필드가 학년, 반, 성별, 신장, 체중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를 보고 테이블의 학년-반 필드를 이용해 학년, 반을 생성하고, 성별, 신장, 체중은 테이블1 것을 사용하는 것이죠.
이번에는 보고서 출력형태를 봅니다.
학년, 반, 성명, 현주소, 신장, 체중, 성별 모두 테이블에 있는 것이니 앞선 폼에서 사용하는 필드와 함께
하나의 쿼리를 만들돼
학년, 반, 성명, 성별, 신장, 현주소를 필드로 사용합니다.
학년-반 필드에서 학년은 앞의 한 글자, 반은 뒤의 한 글자 이므로
학년은 LEFT 함수를 이용해 앞의 한 글자를, 반은 RIGHT 함수를 이용해 뒤의 한 글자를 추출해서 생성하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1-04-28 09:51:59
안녕하세요.
쿼리에서는 제시된 폼과 보고서에서 사용할 필드를 감안해서 작성해야 합니다.
폼 출력형태를 보면 필드가 학년, 반, 성별, 신장, 체중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를 보고 테이블의 학년-반 필드를 이용해 학년, 반을 생성하고, 성별, 신장, 체중은 테이블1 것을 사용하는 것이죠.
이번에는 보고서 출력형태를 봅니다.
학년, 반, 성명, 현주소, 신장, 체중, 성별 모두 테이블에 있는 것이니 앞선 폼에서 사용하는 필드와 함께
하나의 쿼리를 만들돼
학년, 반, 성명, 성별, 신장, 현주소를 필드로 사용합니다.
학년-반 필드에서 학년은 앞의 한 글자, 반은 뒤의 한 글자 이므로
학년은 LEFT 함수를 이용해 앞의 한 글자를, 반은 RIGHT 함수를 이용해 뒤의 한 글자를 추출해서 생성하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