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문제 질문입니다.
도서
[2012] SUMMARY 사무자동화산업기사 필기
페이지
133
조회수
76
작성일
2012-04-25
작성자
첨부파일
통신프로토콜문제는 해결하였습니다. 정확성에서 다중화가 아니라고 써있었네요.
데이터링크 계층: 흐름제어, 프레임 동기화, 오류제어, 순서제어
전송계층: 주소설정, 다중화, 에러제어, 흐름제어
이렇게 써있는데요.
p.135. 핵심 154 TCP 정의를 보면
osi계층 중에 전송계층에 해당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패킷의 다중화, 순서제어, 오류제어, 흐름제어 기능을 제공한다고 하는데요. 여기서 순서제어가 들어가나요?
그러면 p.134 데이터링크 계층의 순서제어가 틀린 건가요? 아니면 TCP가 좀더 포괄적인 의미라 순서제어가 들어간 것인가요?
IP도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하는데 분해/조립이 있고, 주소지정 (전송계층이 아닌가요?)
그러면 포괄적인 의미인가요? 전송계층+순서제어, 네트워크계층+분해/조립+주소지정
답변
2012-04-30 10:01:01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OSI 계층과 TCP를 구분하여 이해하시면 됩니다.
TCP는 OSI 계층에서 전송 계층에 속하며, 패킷의 다중화, 순서제어, 오류제어, 흐름제어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OSI 계층에 속한다고 반드시 해당 계층의 기능만을 하는 것은 아니라고 보시면 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2012-04-30 10:01:01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OSI 계층과 TCP를 구분하여 이해하시면 됩니다.TCP는 OSI 계층에서 전송 계층에 속하며, 패킷의 다중화, 순서제어, 오류제어, 흐름제어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OSI 계층에 속한다고 반드시 해당 계층의 기능만을 하는 것은 아니라고 보시면 됩니다.행복한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