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사무관리 과정 중 사무계획화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그램
2.방침설정
3.재원할당
4.방침
이라는 문제가 있어요 그런데 답은 3번인데 3번은 사무조직화의 특성이므로 3번이정답인데 문제는
방침, 방침설정 이 두가지가 사무계획화의 특성이라는건데 사무계획의 구성요소에 방침이 있어서 방침이 있는거는 이해가 되는데 방침설정 이거는 뭐죠? 이건 어떻게 사무계획화의 특성이되는거죠? 궁금합니다
02.계획화(planning)의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1.목표 또는 목정의 설정
2.자금의 조달과 원천의 결정
3.실시 가능한 대체안 중 최선안 선택
4.업무처리 결과에 대한 분석
답이 4번인데
문제에서 계획화라는말이 사무계획화를 말하는것 맞죠?
그런데 사무계획화에 적혀있는 글을보면 '기업의 경영자계층에서 하위 계층에 이르기까지 모든 계층에서 필요하며, 결과에대한 목표의 선정과 평가를 포함한다.' 라고 되어있는데
어째서 4번에 답이되는건가요? 문제 해설에는 계획화는 업무처리 전에 수행되는 직업입니다. 라고 되어있긴한데
이걸봐도 머가먼지 이해가안되요
03. 사무통제의 방법에서 장표 라는말의 뜻이 뭔가요?
인터넷 찾아봐도 제대로 안나와서
질문이 많아서 죄송합니다 .^^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기업경영에 필요한 사무관리의 목표를 정한 후 그 목표를 효과적으로 수행할수 있도록 필요한 활동의 방향과 지침, 절차 등을 수립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달리 말하면 기업이 목표, 방침, 절차, 예산 등을 설정하고 이를 합리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설계, 구상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무계획화의 특성에 방침설정이 포함됩니다.
문의한 문제의 유형은 다시 출제되더라도 동일하거나 잘못된 보기만 달리하여 출제될 확률이 높으므로 문제와 정답을 정확히 기억해 두세요.
2. 계획화는 결과에 대한 목표의 선정과 평가를 포함, 즉 미래에 일어날 일을 의미합니다. 반면 업무처리 결과에 대한 분석은 업무처리 후, 즉 과거에 대한 분석이므로 잘못된 내용입니다.
3. 장표는 글 장(章), 겉 표(表 )로, 문서의 표지를 붙여서 문서의 내용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2016-01-27 09:39:13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기업경영에 필요한 사무관리의 목표를 정한 후 그 목표를 효과적으로 수행할수 있도록 필요한 활동의 방향과 지침, 절차 등을 수립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달리 말하면 기업이 목표, 방침, 절차, 예산 등을 설정하고 이를 합리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설계, 구상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무계획화의 특성에 방침설정이 포함됩니다.
문의한 문제의 유형은 다시 출제되더라도 동일하거나 잘못된 보기만 달리하여 출제될 확률이 높으므로 문제와 정답을 정확히 기억해 두세요.
2. 계획화는 결과에 대한 목표의 선정과 평가를 포함, 즉 미래에 일어날 일을 의미합니다. 반면 업무처리 결과에 대한 분석은 업무처리 후, 즉 과거에 대한 분석이므로 잘못된 내용입니다.
3. 장표는 글 장(章), 겉 표(表 )로, 문서의 표지를 붙여서 문서의 내용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