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쪽 3번에서 경리부 조건하나 영어 80이상 조건둘 이거나, 관리부 조건하나 전산90이상 이렇게 조건이 두개라서 디에버리지를 두번쓴다고 생각했습니다. 아님에버리지 이프즈를 써야 하는것 아닌가 싶었습니다. 조건이 여러개인데 그냥 디에버리지를 쓰는것이 이해가 가지 않았습니다.
데이터베이스함수는 에버리지이프즈처럼 조건을 여러개 사용할 수있나요? 데이터베이스 함수는 조건이 복잡해도 사용할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카운트 이프, 썸이프. 에버리지이프 조건을 입력할때 "문자",">=70","숫자"모두다 큰따옴표를 붙이는 것 같구요
카운트 이프즈, 썸이프즈, 에버리지이프즈를 조건에서 입력할때 숫자빼고 ""를 붙이는 것 같은데 맞나요?
차트만들때 데이터선택에서 어떤 부분을 범례범위로 지정하고 어떤부분을 축범위로 지정하나요?
차트를 만들때 데이터선택으로 차트를 만들때 오류가 생기면 표에서 차례대로 지정해야 합니까?
데이터선택을 하지 않고 차트를 만들수 잇나요?
261쪽 5번에 dcount dcounta둘다 조건에 만족하는 셀의 개수를 세어주는 것인데 둘중 아무거나 써도 되지 않나요?
카운트랑 디카운트랑 비슷하지만 다른 함수죠. 디카운트 숫자만 세어주는 함수가 아닌 조건에 만족하는 셀을 세어주잖아요.. 그러므로 디카운티아를 쓰지 않고 디카운트를 써도 되지 않나요? 숫자만세든 숫자문자 다세든 상관없이 조건에 만족하는 셀을 세어주는 것은 똑같으니까 아무거나 써도 되지 않아요? 디카운티아를 써야 하는 이유가 있나요?
262쪽 2번피벗테이블에서 이익금의 평균범위를 잡고 천단위 기호를 붙여줄때맨아래에있는 총합계범위까지 잡아주어야하나요? 285쪽도 마한가지로매출액과 수량의 최대값에 1000단위를 지정하라고 할때 총합계까지 범위를 다 잡아주어야 하나요? 1000단위까지 범위를 잡으라고 어디서 잡아주면 됩니까?
275쪽에 2/4분기라는 뜻이 무슨 말인가요?
284쪽에 d3을 10으로 나누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284쪽 3번에 디맥스범위를 다지정해준다음 브이룩업참조범위를 지정해줄때 b13번부터 범위를 참조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그리고 대리인 사원중 호봉의 최대값의 해당자 이름을 찾을려고 할때 4열로 해주어야 하지 않나요?
1. 82페이지 그림의 f13:h15 에
소속 영어 전산
경리부 >=80
관리부 >=90
으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이것이 daverage 의 조건이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복잡한 조건을 사용할때는 d 가 들어가는 데이터 베이스 함수가 제일 편한것 같습니다.
averageif 의 경우 조건을 여러번 적어야 하므로 조금 복잡해 질 수도 있고
주어진 함수가 아니므로 사용할 수 없는 것입니다.
2. 네 맞습니다. countif,sumif 등은 조건을 항상 "" 에 사용해야 하구요.
countifs 등의 경우 숫자일때 "" 를 안하셔도 상관 없습니다.
3. 데이터 선택하지 않고는 차트로 만들 수 없습니다.
그림을 보고 판단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데이터 선택 부분에서 전체적으로 선택하면 자동으로 지정되기 도 하므로
데이터 선택에서 표에 표시되어야 하는 부분을 모두 지정한 후 사용해 보세요.
범위를 지정할때는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로 내려간다고 생각 하셔야 합니다.
4. dcount 는 숫자의 개수만 셀수 있구요. dcounta 는 숫자든 문자든 빈셀만 아니면 셀 수 있습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함수를 이용하여 작성하세요.
5. 네 총합계 범위도 잡으셔야 합니다.
6. 2/4 분기란 1년을 4개의 분기로 나눠서 2번째 분기라는 것으로
1분기는 1,2,3월 2분기는 4,5,6 월 3분기는 7,8,9월 4분기는 10,11,12월 을 뜻합니다.
7.
choose 함수 사용법을 보시면(53p) =choose(인수,첫번째,두번째,...)
인수가 1이면 첫번째를, 2이면 두번째를,...
한마디로 요일 번호가 1이면 "일",2이면 "월",3이면 "화",4이면 "수",.....
= choose(c3,"일","월","화","수","목","금","토") 가 되는 것이지요.
문제에서
90이상이면 "A",70이상이면 "B", 50이상이면 "C",30이상이면 "D", 30미만이면 "F" 를 평점에 표시하라고 했기 때문입니다.
30미만이므로 0~29까지 입니다. 0~1까지 10으로 나누면 0이 나오기 때문에 +1 을 해서 1로 만들어주고
10~19까지 10으로 나누면 1 거기에 +1을 하면 2,
20~29까지 10으로 나누면 2 거기에 +1을 하면 3,
이 되므로 1,2,3 이 0~29까지의 값이됩니다. 그래서 choose의 인수가 1,2,3 일때 값을 반환하기 위해서
choose 인수의 첫번째,두번째, 세번째에 "F" 가 들어가는 것이죠.
그리고 +1 을 하는 이유는 0~9값을 10으로 나누면 0이 나오기 때문에 0값은 choose 함수에서 사용할 수 없으므로 +1을 하여 1의 값을 만들어 주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1이 나오면 "F" 를 반영할 수 있도록
choose(int(d3/10)+1,"F",.....) 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30미만인 것 즉 1,2,3 이라는 인수가 나온 것은 F가 되어야 하므로
choose(int(d3/10)+1,"F","F","F"...
로 사용하는 것이죠.
책에 설명되어 있듯이 81을 10으로 나누면 8이되고 거기에 +1을 하게되면 9가 됩니다.
80이상이면 "B" 가 되어야 하기때문에 9는 "B"로 맞게 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2014-04-04 23:47:12
1. 82페이지 그림의 f13:h15 에
소속 영어 전산
경리부 >=80
관리부 >=90
으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이것이 daverage 의 조건이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복잡한 조건을 사용할때는 d 가 들어가는 데이터 베이스 함수가 제일 편한것 같습니다.
averageif 의 경우 조건을 여러번 적어야 하므로 조금 복잡해 질 수도 있고
주어진 함수가 아니므로 사용할 수 없는 것입니다.
2. 네 맞습니다. countif,sumif 등은 조건을 항상 "" 에 사용해야 하구요.
countifs 등의 경우 숫자일때 "" 를 안하셔도 상관 없습니다.
3. 데이터 선택하지 않고는 차트로 만들 수 없습니다.
그림을 보고 판단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데이터 선택 부분에서 전체적으로 선택하면 자동으로 지정되기 도 하므로
데이터 선택에서 표에 표시되어야 하는 부분을 모두 지정한 후 사용해 보세요.
범위를 지정할때는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로 내려간다고 생각 하셔야 합니다.
4. dcount 는 숫자의 개수만 셀수 있구요. dcounta 는 숫자든 문자든 빈셀만 아니면 셀 수 있습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함수를 이용하여 작성하세요.
5. 네 총합계 범위도 잡으셔야 합니다.
6. 2/4 분기란 1년을 4개의 분기로 나눠서 2번째 분기라는 것으로
1분기는 1,2,3월 2분기는 4,5,6 월 3분기는 7,8,9월 4분기는 10,11,12월 을 뜻합니다.
7.
choose 함수 사용법을 보시면(53p) =choose(인수,첫번째,두번째,...)
인수가 1이면 첫번째를, 2이면 두번째를,...
한마디로 요일 번호가 1이면 "일",2이면 "월",3이면 "화",4이면 "수",.....
= choose(c3,"일","월","화","수","목","금","토") 가 되는 것이지요.문제에서
90이상이면 "A",70이상이면 "B", 50이상이면 "C",30이상이면 "D", 30미만이면 "F" 를 평점에 표시하라고 했기 때문입니다.
30미만이므로 0~29까지 입니다. 0~1까지 10으로 나누면 0이 나오기 때문에 +1 을 해서 1로 만들어주고
10~19까지 10으로 나누면 1 거기에 +1을 하면 2,
20~29까지 10으로 나누면 2 거기에 +1을 하면 3,
이 되므로 1,2,3 이 0~29까지의 값이됩니다. 그래서 choose의 인수가 1,2,3 일때 값을 반환하기 위해서
choose 인수의 첫번째,두번째, 세번째에 "F" 가 들어가는 것이죠.
그리고 +1 을 하는 이유는 0~9값을 10으로 나누면 0이 나오기 때문에 0값은 choose 함수에서 사용할 수 없으므로 +1을 하여 1의 값을 만들어 주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1이 나오면 "F" 를 반영할 수 있도록
choose(int(d3/10)+1,"F",.....) 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30미만인 것 즉 1,2,3 이라는 인수가 나온 것은 F가 되어야 하므로choose(int(d3/10)+1,"F","F","F"...
로 사용하는 것이죠.
책에 설명되어 있듯이 81을 10으로 나누면 8이되고 거기에 +1을 하게되면 9가 됩니다.
80이상이면 "B" 가 되어야 하기때문에 9는 "B"로 맞게 됩니다.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