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2-1 번의 정답이
=choose(int(D3/10)+1,"F","F","F","D","D","C","C","B","B","A","A"
인데.. 다른 것 다 이해가 되도 저기 F 문자가 세개가 쓰인건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앞에 =choose(int(D3/10)+1 <- 이 함수는 1부터 나타내지는 거일테고
F 가 세개 있으므로 1,2,3 까지는 F 로 표시하겠다는 얘기같은데..
그렇게 된다면 문제에는 30 미만에 해당하는 점수가 "F" 라는 말이 성립이 안되는 거 같은데
자세히 알려 주시겠어요? ㅎㅎ
부탁 드립니다.
수고하세요
choose 함수 사용법을 보시면(53p) =choose(인수,첫번째,두번째,...)
인수가 1이면 첫번째를, 2이면 두번째를,...
한마디로 요일 번호가 1이면 "일",2이면 "월",3이면 "화",4이면 "수",.....
= choose(c3,"일","월","화","수","목","금","토") 가 되는 것이지요.
문제에서
90이상이면 "A",70이상이면 "B", 50이상이면 "C",30이상이면 "D", 30미만이면 "F" 를 평점에 표시하라고 했기 때문입니다.
30미만이므로 0~29까지 입니다. 0~1까지 10으로 나누면 0이 나오기 때문에 +1 을 해서 1로 만들어주고
10~19까지 10으로 나누면 1 거기에 +1을 하면 2,
20~29까지 10으로 나누면 2 거기에 +1을 하면 3,
이 되므로 1,2,3 이 0~29까지의 값이됩니다. 그래서 choose의 인수가 1,2,3 일때 값을 반환하기 위해서
choose 인수의 첫번째,두번째, 세번째에 "F" 가 들어가는 것이죠.
그리고 +1 을 하는 이유는 0~9값을 10으로 나누면 0이 나오기 때문에 0값은 choose 함수에서 사용할 수 없으므로 +1을 하여 1의 값을 만들어 주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1이 나오면 "F" 를 반영할 수 있도록
choose(int(d3/10)+1,"F",.....) 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30미만인 것 즉 1,2,3 이라는 인수가 나온 것은 F가 되어야 하므로
choose(int(d3/10)+1,"F","F","F"...
로 사용하는 것이죠.
책에 설명되어 있듯이 81을 10으로 나누면 8이되고 거기에 +1을 하게되면 9가 됩니다.
80이상이면 "B" 가 되어야 하기때문에 9는 "B"로 맞게 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2014-03-30 05:22:53
choose 함수 사용법을 보시면(53p) =choose(인수,첫번째,두번째,...)
인수가 1이면 첫번째를, 2이면 두번째를,...
한마디로 요일 번호가 1이면 "일",2이면 "월",3이면 "화",4이면 "수",.....
= choose(c3,"일","월","화","수","목","금","토") 가 되는 것이지요.
문제에서
90이상이면 "A",70이상이면 "B", 50이상이면 "C",30이상이면 "D", 30미만이면 "F" 를 평점에 표시하라고 했기 때문입니다.
30미만이므로 0~29까지 입니다. 0~1까지 10으로 나누면 0이 나오기 때문에 +1 을 해서 1로 만들어주고
10~19까지 10으로 나누면 1 거기에 +1을 하면 2,
20~29까지 10으로 나누면 2 거기에 +1을 하면 3,
이 되므로 1,2,3 이 0~29까지의 값이됩니다. 그래서 choose의 인수가 1,2,3 일때 값을 반환하기 위해서
choose 인수의 첫번째,두번째, 세번째에 "F" 가 들어가는 것이죠.
그리고 +1 을 하는 이유는 0~9값을 10으로 나누면 0이 나오기 때문에 0값은 choose 함수에서 사용할 수 없으므로 +1을 하여 1의 값을 만들어 주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1이 나오면 "F" 를 반영할 수 있도록
choose(int(d3/10)+1,"F",.....) 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30미만인 것 즉 1,2,3 이라는 인수가 나온 것은 F가 되어야 하므로choose(int(d3/10)+1,"F","F","F"...
로 사용하는 것이죠.
책에 설명되어 있듯이 81을 10으로 나누면 8이되고 거기에 +1을 하게되면 9가 됩니다.
80이상이면 "B" 가 되어야 하기때문에 9는 "B"로 맞게 됩니다.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