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제를 보면...
No.1 sinagong 에서 찾을 텍스트가 o 이고 시작위치가 4라고 나와있는데..
결과가 왜 11 인가요..?? 시작위치랑은 상관없이 맨 처음부터 위치를 반환하는건가요??
4부터 시작하면 8 아닌가요???
P.s find 부터 막히니 62번째 searchb까지 이해가 잘 안되네요...
자세한 설명 부탁드릴게요..
=Find(찾을문자,검색대상문자,[시작위치])
함수는 찾을 문자가 검색대상에서 몇번째에 위치해 있는지 알려주는 함수입니다.
=Find("o","No.1 sinagong",4) 일경우..
No.1 sinagong 에서 o는 두번나옵니다. 2번째하고 11번째에..
근데 검색시작위치가 4번째 이므로.. 왼쪽에서 4번째 자리인 숫자 1의 위치에서 부터 검색을 시작합니다.
(두번째에 있는 o는 여기서 제외됩니다.)
그래서 11번째에 있는 o를 찾아주는거죠
시작위치는 검색을 시작할 위치일 뿐입니다. 말씀하신대로 맨 처음부터 위치를 반환하는것이 맞습니다.
find 함수는 글자 수로 계산하여 반환하며, searchb 함수는 바이트수로 결과를 반환합니다.
=searchb("다","가나다라")
결과 : 5
한글/한자는 한글자당 2바이트를 가지고 있고, 다는 세번째에 있습니다.
"가" 라는 글자가 2바이트는, "나" 라는 글자가 2바이트를 가지고 있으니..(총4바이트)
"다" 의 시작위치는 5바이트부터 시작되므로,결과값은 5가 나오게 됩니다.
find 함수와 search 함수는 사용법과 결과가 비슷한 함수이고, 일반적인 차이는 find 함수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찾지만(A와 a 를 다른문자로 취급) , search 함수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습니다.
(A 와 a 를 같은문자로 취급)
둘다 함수 뒤에 b가 붙으면 (findb, searchb) 글자수가 아닌 바이트수로 구합니다.
-
*2013-10-04 13:38:45
=Find(찾을문자,검색대상문자,[시작위치])
함수는 찾을 문자가 검색대상에서 몇번째에 위치해 있는지 알려주는 함수입니다.
=Find("o","No.1 sinagong",4) 일경우..
No.1 sinagong 에서 o는 두번나옵니다. 2번째하고 11번째에..
근데 검색시작위치가 4번째 이므로.. 왼쪽에서 4번째 자리인 숫자 1의 위치에서 부터 검색을 시작합니다.
(두번째에 있는 o는 여기서 제외됩니다.)
그래서 11번째에 있는 o를 찾아주는거죠
시작위치는 검색을 시작할 위치일 뿐입니다. 말씀하신대로 맨 처음부터 위치를 반환하는것이 맞습니다.
find 함수는 글자 수로 계산하여 반환하며, searchb 함수는 바이트수로 결과를 반환합니다.
=searchb("다","가나다라")
결과 : 5
한글/한자는 한글자당 2바이트를 가지고 있고, 다는 세번째에 있습니다.
"가" 라는 글자가 2바이트는, "나" 라는 글자가 2바이트를 가지고 있으니..(총4바이트)
"다" 의 시작위치는 5바이트부터 시작되므로,결과값은 5가 나오게 됩니다.
find 함수와 search 함수는 사용법과 결과가 비슷한 함수이고, 일반적인 차이는 find 함수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찾지만(A와 a 를 다른문자로 취급) , search 함수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습니다.
(A 와 a 를 같은문자로 취급)
둘다 함수 뒤에 b가 붙으면 (findb, searchb) 글자수가 아닌 바이트수로 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