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lookup이나 hlookup 함수에서 true 나 false 사용 구분이 잘 되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따라하기 2번 판매금액 구하기 문제를 보면
=HLOOKUP(H3,$G$12:$J$14,2)*I3 에서 2의 행번호 뒤에 생략이 돼있는데요 생략이 됐다는건 여기서 true가 적용된다는건데 true는 정확히 일치하거나 근사값을 찾을때 쓰잖아요
근데 상품코드 33은 상품단가표에서 찾을때 근사값이 전혀 필요없이 33이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아야 하니까 false를 적용해야 된다고 생각해서 행번호 뒤에 false를 입력했더니 정답은 맞았더라구요
근데 보니까 교재에는 false가 아닌 true가 적용된거 같은데 33의 근사값이라고 하기엔 근사값 자체가 데이터에 없는거 같아요 ㅠ
여기서 true를 써야 하는 이유가 따로 있나요?
바로 전 문제인 1번 대출금리 구하기에서 false가 사용된 이유가 접수코드 '001-3-1121'의 3과 코드에 있는 3이 정확히 일치해야 된다고 생각해서 false를 썼었거든요..
혹시 제가 잘못이해하고 있는거면 true와 false에 대해 제대로 알려주세요 ㅠ 책을봐도 부록을 봐도 모르겠네요 ㅠㅠ
hlookup에서 찾을 값이 11,22,33 과 같이 정확히 일치하는 값이 나오기 때문에
false 를 사용하셔도 되구요.
11,22,33 과 같이 범위가 오름차순 정렬된 상태이기 때문에 옵션을 생략(true) 하셔도 정확한 결과가 나오는 것입니다.
옵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 드릴께요..
true(1) 또는 생략 : 근사값을 찾습니다. 즉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찾을값 보다 작은 값 중에서 근사값을 찾습니다.
false :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으며 정확히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n/a" 오류값을 반환합니다.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을때 FALSE를 사용합니다.
숫자일때 false를 쓰는 경우는 범위로 지정된 첫번째 행이나 열의 값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
FALSE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는
범위의 첫번째 열에 있는 데이터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을때 정확히 일치하는 값 또는 문자를 찾을때도 false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범위의 첫 번째 열에 있는 값이 가, 나, 다, 라 또는 a, b, c, e 등과 같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다면 문자를 찾을때도 false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생략했을때 올바른 값이 나온다면 생략하여 사용 할 수 있습니다.
함수는 제시된 함수를 사용하고 올바른 값이 나온다면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2013-09-16 13:07:55
hlookup에서 찾을 값이 11,22,33 과 같이 정확히 일치하는 값이 나오기 때문에
false 를 사용하셔도 되구요.
11,22,33 과 같이 범위가 오름차순 정렬된 상태이기 때문에 옵션을 생략(true) 하셔도 정확한 결과가 나오는 것입니다.
옵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 드릴께요..
true(1) 또는 생략 : 근사값을 찾습니다. 즉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찾을값 보다 작은 값 중에서 근사값을 찾습니다.false :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으며 정확히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n/a" 오류값을 반환합니다.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을때 FALSE를 사용합니다.
숫자일때 false를 쓰는 경우는 범위로 지정된 첫번째 행이나 열의 값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FALSE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는
범위의 첫번째 열에 있는 데이터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을때 정확히 일치하는 값 또는 문자를 찾을때도 false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범위의 첫 번째 열에 있는 값이 가, 나, 다, 라 또는 a, b, c, e 등과 같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다면 문자를 찾을때도 false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생략했을때 올바른 값이 나온다면 생략하여 사용 할 수 있습니다.
함수는 제시된 함수를 사용하고 올바른 값이 나온다면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