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식을 입력할때 문자가 들어간 조건은 큰따옴표로 묶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컴퓨터활용능력
2급 실기 기출문제중
2012년 예시2급A형
계산문제4번에서
저는 2학년을 숫자로 보지않고 문자로 보아 "2"
400점이상을 400이라는 숫자로 보아 따옴표를 묶지않은 >=400
으로 생각하였으나
답안은 정반대인
2에는 큰따옴표가 붙지않고 400점이상에는 큰따옴표로 묶였습니다.
(답은 맞았으나 우연인지 모르겠습니다)
ㅠㅠㅠㅠㅠㅠ
이해하기 쉬운 설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이메일 서비스를 받기위하여
2급 실기책5페이지를 따라서
구입교재 등록을 하였으나
최신기출문제 이메일서비스를 받지 못하였습니다.
어떻게 해야하나요?
COUNTIFS(G14:G20,2,I14:I20,">=400") & "명"
에서 2 가 사용된 것은
학년으로 입력된 데이터가 1,2, 와 같이 숫자 형식이기 때문이구요.
COUNTIFS 와 같은 함수에서 조건은 "" 안에 사용되어야 하므로 ">=400"
과 같이 사용되는 것입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2013-06-17 22:58:08
COUNTIFS(G14:G20,2,I14:I20,">=400") & "명"
에서 2 가 사용된 것은
학년으로 입력된 데이터가 1,2, 와 같이 숫자 형식이기 때문이구요.
COUNTIFS 와 같은 함수에서 조건은 "" 안에 사용되어야 하므로 ">=400"
과 같이 사용되는 것입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