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식에서 DCOUNTA 는 COUNTIF 와, DCOUNT 는 COUNT 와 서로 기능이 비슷해보이는데
차이점이 뭔가요?
그리고 p53 기출문제 따라잡기 E3=UPPER(C3)&"("&PROPER(D3)&")" 에서
& 와 "" 이 많이 쓰였는데 이 두개가 어떤 경우에 쓰이는지 알려주세요.
dcounta 는 조건에 해당하는 것의 개수를 세는데 값이 입력되어 있는 셀의 개수를 셀 수 있습니다.
countif 는 조건에 해당하는 것의 개수를 셀 수 있습니다.
dcounta 함수는 범위와 조건모두 필드명을 포함하여야 하고
countif 는 조건을 적용하고 개수를 세고자 하는 곳의 범위를 지정 하시면 됩니다.
dcount 는 숫자가 입력된 셀의 개수를 셀 수 있는데 범위와 조건이 모두 필드명을 포함하여야 합니다.
count 함수는 기본적으로 셀에 입력된 숫자의 개수를 세게 됩니다.
"" 는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것으로 "(" 를 그대로 표시 하기 위한것입니다.
& 는 앞뒤의 수식이나 문자를 이어주기 위한 것으로
upper(c3) 에서 나온값과 "(" 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죠.
upper(c3) 에서 나온값이 SUSUNG 이므로 SUSUNG & "(" 가 되는 것이죠.
SUSUNG(
로 결과가 나올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
*2012-12-11 07:59:50
dcounta 는 조건에 해당하는 것의 개수를 세는데 값이 입력되어 있는 셀의 개수를 셀 수 있습니다.
countif 는 조건에 해당하는 것의 개수를 셀 수 있습니다.
dcounta 함수는 범위와 조건모두 필드명을 포함하여야 하고
countif 는 조건을 적용하고 개수를 세고자 하는 곳의 범위를 지정 하시면 됩니다.
dcount 는 숫자가 입력된 셀의 개수를 셀 수 있는데 범위와 조건이 모두 필드명을 포함하여야 합니다.
count 함수는 기본적으로 셀에 입력된 숫자의 개수를 세게 됩니다.
"" 는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것으로 "(" 를 그대로 표시 하기 위한것입니다.
& 는 앞뒤의 수식이나 문자를 이어주기 위한 것으로
upper(c3) 에서 나온값과 "(" 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죠.
upper(c3) 에서 나온값이 SUSUNG 이므로 SUSUNG & "(" 가 되는 것이죠.
SUSUNG(
로 결과가 나올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