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쪽에 폴스인경우는 정렬되어 이찌않아도 된다고 나오는데, 이게 정렬된건지 아닌지를 어떻게 아나요 ?
그리고 접수코드의 다섯번째부터 1개이 값 3은 숫자형태이지만 문자데이터이다
이게 무슨 말인가요
그러면 이제 브이룩업이나 에이치룩업 나오면 뭘 기준으로 뒤에 트루 폴스를 붙여야 맞는 풀이가 되는겁니까...아 이거 너무 설명이 부실하네요 좀 도와주길 빕니다 ㅠㅠ
마찬가지로 88쪽 내용도 잘 이해가 안 갑니다. 첫행이 정렬되어 있어야 트루를 쓸수 있다는건데 그건 무슨 말인지 또...
아..
일반적으로 숫자는 트루, 문자는 폴스.... 답해주세요
더불어 90쪽에도 나오잖아요 이문제에서와 같이 범위의 첫번째 열이 정렬되어 있지 않을 때는 false를 쓴다
역시 정렬이 되어있다 되어있지 않다의 기준이 뭔가요 ?
더불어 p.116 자릿수늘림을 하면 책에 나온 그럼 처럼 안되는데 ? 어떡해야 하나요 ?
p.121 새로운 값을로 대치 해제하는 이유
p.132 피벗차트의 바로가기 메뉴에 차트이동이 없습니다...
상품단가표의 첫번째 행에 보시면
11 22 33 44
와 같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옵션을 생략해도 되는 것이죠.
접수코드는 001-3-1121 인데 mid 함수를 사용하면 가운데 자리인 3 이 나오게 됩니다.
그런데 mid,left,right 함수는 텍스트 함수이므로 여기서 나온 값은 숫자 모양이더라도 문자로 나오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문자라고 하는 것입니다.
90쪽문제는 성적을 찾는 것인데 성적이
85, 56 , 90 , 78 ...
과 같이 정렬된 상태가 아닙니다. 그러므로 false 를 사용하여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아야 하는 것이죠.
옵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 드릴께요..
true(1) 또는 생략 : 근사값을 찾습니다. 즉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찾을값 보다 작은 값 중에서 근사값을 찾습니다.
false :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으며 정확히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n/a" 오류값을 반환합니다.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을때 FALSE를 사용합니다.
숫자일때 false를 쓰는 경우는 범위로 지정된 첫번째 행이나 열의 값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
FALSE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는
범위의 첫번째 열에 있는 데이터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을때 정확히 일치하는 값 또는 문자를 찾을때도 false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범위의 첫 번째 열에 있는 값이 가, 나, 다, 라 또는 a, b, c, e 등과 같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다면 문자를 찾을때도 false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생략했을때 올바른 값이 나온다면 생략하여 사용 할 수 있습니다.
함수는 제시된 함수를 사용하고 올바른 값이 나온다면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범위의 첫번째 열이 정렬되어 있다 라는 것은
1 2 3 4 6 9 10 과 같이 정렬된 것을 말합니다. 혹은
가 나 다 라 마 바 사 등과 같이 정렬된 것도 말하죠.
정렬되지 않았다 라는 것은
3 5 1 2 10 9 와 같이 된 것을 말하구요.
나 다 가 마 사 도 마찮가지로 정렬되지 않은 것입니다.
문제의 첫번째 열이 정렬이 된 상태인지 뒤죽박죽으로 섞인 상태인지 모시고 정렬이 되어 있다면 false 를 생략 하셔도 됩니다.
하지만 정렬이 되지 않았다면 근사값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false 를 입력 하셔서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아 주셔야 합니다.
116페이지 자릿수 늘림 한번 하시고 줄임을 하셔서 그림처럼 만드세요.
자릿수 늘림 하는 이유는 소수 자리수를 모두 같게 만들기 위한 것입니다.
121페이지 새로운 값으로 대치를 체크 해제 하는 것입니다.
부분합을 한번 하고 난 후 다른 값을 추가하고자 한다면 체크 해제 하셔야 하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첫번째 부분합이 없어지고 지금 하는 부분합만 표시 되기 때문입니다.
132 차트의 여백부분에서 오른쪽 클릭 ->차트 이동을 선택하신것이 맞나요?
아래 그림과 같이 오른쪽 클릭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2012-07-17 05:25:30
상품단가표의 첫번째 행에 보시면
11 22 33 44
와 같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옵션을 생략해도 되는 것이죠.
접수코드는 001-3-1121 인데 mid 함수를 사용하면 가운데 자리인 3 이 나오게 됩니다.
그런데 mid,left,right 함수는 텍스트 함수이므로 여기서 나온 값은 숫자 모양이더라도 문자로 나오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문자라고 하는 것입니다.
90쪽문제는 성적을 찾는 것인데 성적이
85, 56 , 90 , 78 ...
과 같이 정렬된 상태가 아닙니다. 그러므로 false 를 사용하여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아야 하는 것이죠.
옵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 드릴께요..
true(1) 또는 생략 : 근사값을 찾습니다. 즉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찾을값 보다 작은 값 중에서 근사값을 찾습니다.false :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으며 정확히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n/a" 오류값을 반환합니다.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을때 FALSE를 사용합니다.
숫자일때 false를 쓰는 경우는 범위로 지정된 첫번째 행이나 열의 값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FALSE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는
범위의 첫번째 열에 있는 데이터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을때 정확히 일치하는 값 또는 문자를 찾을때도 false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범위의 첫 번째 열에 있는 값이 가, 나, 다, 라 또는 a, b, c, e 등과 같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다면 문자를 찾을때도 false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생략했을때 올바른 값이 나온다면 생략하여 사용 할 수 있습니다.
함수는 제시된 함수를 사용하고 올바른 값이 나온다면 정답으로 인정됩니다.범위의 첫번째 열이 정렬되어 있다 라는 것은
1 2 3 4 6 9 10 과 같이 정렬된 것을 말합니다. 혹은
가 나 다 라 마 바 사 등과 같이 정렬된 것도 말하죠.
정렬되지 않았다 라는 것은
3 5 1 2 10 9 와 같이 된 것을 말하구요.
나 다 가 마 사 도 마찮가지로 정렬되지 않은 것입니다.
문제의 첫번째 열이 정렬이 된 상태인지 뒤죽박죽으로 섞인 상태인지 모시고 정렬이 되어 있다면 false 를 생략 하셔도 됩니다.
하지만 정렬이 되지 않았다면 근사값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false 를 입력 하셔서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아 주셔야 합니다.
116페이지 자릿수 늘림 한번 하시고 줄임을 하셔서 그림처럼 만드세요.
자릿수 늘림 하는 이유는 소수 자리수를 모두 같게 만들기 위한 것입니다.
121페이지 새로운 값으로 대치를 체크 해제 하는 것입니다.
부분합을 한번 하고 난 후 다른 값을 추가하고자 한다면 체크 해제 하셔야 하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첫번째 부분합이 없어지고 지금 하는 부분합만 표시 되기 때문입니다.
132 차트의 여백부분에서 오른쪽 클릭 ->차트 이동을 선택하신것이 맞나요?
아래 그림과 같이 오른쪽 클릭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