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함수의 조건이 true는 근사값 false는 정확한 값을 요구하는 것일떄
1번문제에서는 false라고 조건을 지정해주었고 -이유는 3이 문자데이터 이기때문이자나요 .
2번문제에서는 hlookup의 조건을 생략 (true)라고 지정해주었자나요
여기서 사원번호는 정확히 4가지로 이미 정해져있는데 false를 사용하면 안돼는 것인가요?
두분제 전부에서 조건을 정답과 반대로 설정해주엇을 경우
오답처리되는지요?
둘다 반대로 사용했을 경우 정확한 결과가 나온다면 상관이 없습니다.
옵션은 어떻게 사용하든 상관 없구요. 정확한 결과가 나오면 됩니다.
하지만 옵션을 잘못 사용했을 경우 오답이나 오류 메시지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해 주세요.
옵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 드릴께요..
true(1) 또는 생략 : 근사값을 찾습니다. 즉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찾을값 보다 작은 값 중에서 근사값을 찾습니다.
false :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으며 정확히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n/a" 오류값을 반환합니다.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을때 FALSE를 사용합니다.
숫자일때 false를 쓰는 경우는 범위로 지정된 첫번째 행이나 열의 값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
FALSE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는
범위의 첫번째 열에 있는 데이터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을때 정확히 일치하는 값 또는 문자를 찾을때도 false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범위의 첫 번째 열에 있는 값이 가, 나, 다, 라 또는 a, b, c, e 등과 같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다면 문자를 찾을때도 false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생략했을때 올바른 값이 나온다면 생략하여 사용 할 수 있습니다.
함수는 제시된 함수를 사용하고 올바른 값이 나온다면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범위의 첫번째 열이 정렬되어 있다 라는 것은
1 2 3 4 6 9 10 과 같이 정렬된 것을 말합니다. 혹은
가 나 다 라 마 바 사 등과 같이 정렬된 것도 말하죠.
정렬되지 않았다 라는 것은
3 5 1 2 10 9 와 같이 된 것을 말하구요.
나 다 가 마 사 도 마찮가지로 정렬되지 않은 것입니다.
문제의 첫번째 열이 정렬이 된 상태인지 뒤죽박죽으로 섞인 상태인지 모시고 정렬이 되어 있다면 false 를 생략 하셔도 됩니다.
하지만 정렬이 되지 않았다면 근사값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false 를 입력 하셔서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아 주셔야 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2012-03-29 07:01:28
둘다 반대로 사용했을 경우 정확한 결과가 나온다면 상관이 없습니다.
옵션은 어떻게 사용하든 상관 없구요. 정확한 결과가 나오면 됩니다.
하지만 옵션을 잘못 사용했을 경우 오답이나 오류 메시지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해 주세요.
옵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 드릴께요..
true(1) 또는 생략 : 근사값을 찾습니다. 즉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찾을값 보다 작은 값 중에서 근사값을 찾습니다.false :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으며 정확히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n/a" 오류값을 반환합니다.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을때 FALSE를 사용합니다.
숫자일때 false를 쓰는 경우는 범위로 지정된 첫번째 행이나 열의 값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FALSE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는
범위의 첫번째 열에 있는 데이터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을때 정확히 일치하는 값 또는 문자를 찾을때도 false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범위의 첫 번째 열에 있는 값이 가, 나, 다, 라 또는 a, b, c, e 등과 같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다면 문자를 찾을때도 false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생략했을때 올바른 값이 나온다면 생략하여 사용 할 수 있습니다.
함수는 제시된 함수를 사용하고 올바른 값이 나온다면 정답으로 인정됩니다.범위의 첫번째 열이 정렬되어 있다 라는 것은
1 2 3 4 6 9 10 과 같이 정렬된 것을 말합니다. 혹은
가 나 다 라 마 바 사 등과 같이 정렬된 것도 말하죠.
정렬되지 않았다 라는 것은
3 5 1 2 10 9 와 같이 된 것을 말하구요.
나 다 가 마 사 도 마찮가지로 정렬되지 않은 것입니다.
문제의 첫번째 열이 정렬이 된 상태인지 뒤죽박죽으로 섞인 상태인지 모시고 정렬이 되어 있다면 false 를 생략 하셔도 됩니다.
하지만 정렬이 되지 않았다면 근사값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false 를 입력 하셔서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아 주셔야 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