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기 DCOUNTA랑 DCOUNT 랑 COUNTIF 랑 모두 조건이 붙을때 쓰는건데
DCOUNTA는 조건에 맞는 자료중 데이터가 있는 레코드의 개수
DCOUNT는 조건에 맞는 자료중 숫자가 있는 레코드의 개수
COUNTIF는 조건에 맞는 데이터의 개수만 구하는
것인데 예를들어 컴활2급실기 함수정리된 책 29쪽문제
품목별로 판매 건수 계산
이 문제인데
이 세함수 다써도 상관 없이 다 이행되는거죠?
아니면 각각 쓰이는 문제형식이 다른가요? 책보니까 세개 기출문제로 나온것이 문제가 똑같던데
DSUM 이랑 SUMIF 랑도 요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함수들입니다. 실생활에서는 정확한 값이 나온다면 어느것을 사용하셔도 상관 없습니다.
계산작업 문제에서는 함수를 미리 제시해 주므로
제시된 함수를 사용하여 정확한 결과가 나올 수 있게 작성하시면 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2012-03-23 12:37:02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함수들입니다. 실생활에서는 정확한 값이 나온다면 어느것을 사용하셔도 상관 없습니다.
계산작업 문제에서는 함수를 미리 제시해 주므로
제시된 함수를 사용하여 정확한 결과가 나올 수 있게 작성하시면 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