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보시면 알겠지만
문제2(계산작업)에서 4번문제는 HLOOKUP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 잖아요
왜 HLOOKUP를 사용하는거져?
HLOOKUP,VLOOKUP 구별 하는 법좀 알려주세요
전에도 답변 해주셨었는데
HLOOKUP=행 구하는
VLOOKUP=열 구하는 이라고 너무 간단하게 알려주셔서 좀 이해가 안되네요
예시를 좀 들어서 HLOOKUP,VLOOKUP 별로 1문제씩만 좀 예로 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회 기본모의고사 문제2 4번 처럼 문제자체를 좀 써주세요
HLOOKUP에 관한 문제
VLOOKUP에 관한 문제 이렇게 해서요 구별하는 요령도 좀
아무튼 잘부탁드립니다
vlookup(찾을값,범위,열번호,옵션):범위의 맨 왼쪽 열에서 찾을 값과 같은 값을 찾은 후 찾을 값이 있는 행에서 지정된 열번호 위치에 있는 데이터를 반환합니다.
hlookup(찾을값,범위,행번호,옵션):범위의 첫 번째 행에서 찾을 값과 같은 데이터를 찾은 후 찾을 값이 있는 열에서 지정된 행 번호 위치에 있는 데이터를 반환합니다.
만약 [표1]에 근무년수가 찾을 값이라고 한다면 찾을 값 부분에 이 값을 넣고 이 근무년수에 해당하는 수당비율을 구하고자 한다면 참조로 지정된 범위를 잡은 후 이 범위에서 수당비율에 해당하는 열이나 행을 표시 해주면 됩니다.
밑의 그름을 보시면 근무년수, 수당비율 이라고 된 부분이 범위에 해당 합니다. 그림에는 보이지 않지만 원본 데이터에 근무년수가 포함된 데이터들이 주루룩 있는데요. 여기서 찾을 값인 근무년수를 클릭 하시면 되겠습니다.
찾을려고 하는 값이 맨왼쪽열에 있을때는 vlookup
찾을려고 하는 값이 첫행에 있을때는 hlookup
근무년수를 구할때 구하고자 하는 근무년수가 세로로 되어 있을때는 vlookup
근무년수를 구할때 구하고자하는 근무년수가 가로로 되어있을때 hlookup을 사용 합니다.
그림을 참고해 주세요.
좋은 하루 되세요.
"-
*2012-03-03 05:07:23
vlookup(찾을값,범위,열번호,옵션):범위의 맨 왼쪽 열에서 찾을 값과 같은 값을 찾은 후 찾을 값이 있는 행에서 지정된 열번호 위치에 있는 데이터를 반환합니다.
hlookup(찾을값,범위,행번호,옵션):범위의 첫 번째 행에서 찾을 값과 같은 데이터를 찾은 후 찾을 값이 있는 열에서 지정된 행 번호 위치에 있는 데이터를 반환합니다.
만약 [표1]에 근무년수가 찾을 값이라고 한다면 찾을 값 부분에 이 값을 넣고 이 근무년수에 해당하는 수당비율을 구하고자 한다면 참조로 지정된 범위를 잡은 후 이 범위에서 수당비율에 해당하는 열이나 행을 표시 해주면 됩니다.
밑의 그름을 보시면 근무년수, 수당비율 이라고 된 부분이 범위에 해당 합니다. 그림에는 보이지 않지만 원본 데이터에 근무년수가 포함된 데이터들이 주루룩 있는데요. 여기서 찾을 값인 근무년수를 클릭 하시면 되겠습니다.
찾을려고 하는 값이 맨왼쪽열에 있을때는 vlookup
찾을려고 하는 값이 첫행에 있을때는 hlookup
근무년수를 구할때 구하고자 하는 근무년수가 세로로 되어 있을때는 vlookup
근무년수를 구할때 구하고자하는 근무년수가 가로로 되어있을때 hlookup을 사용 합니다.
그림을 참고해 주세요.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