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쪽 따라하기 1.2.3번과 관련된 질문이에요
이해안가는게 3가지가 있는데
오른쪽에 있는 전문가의 조언 중 아래것을 읽으니
이해가 갈것말것하면서도 안가더라구요...;;
먼저 막대,꺾은선 혼합으로 만들기 위해
따라하기 1번에서 표식이 있는 꺾은선형을 선택했는데요
표식이 있는 꺾은선형과 그 바로옆에 위치한 꺾은선형의 차이점을 알려주세요 ㅠㅠ
2번에 보조축 만드는 거에서요
이해가 안가서 전문가의 조언을 읽어보니
데이터의 단위가 크게차이 날 경우에 작은쪽계열은
차트에표시되지않기때문에 보조축을 설정해야한다고 나와있는데요
이말을 읽고 작은쪽계열에 보조축을 설정하라는거라고 알아들었는데
책에서는 생산비용을 보조축으로 설정했더라구요..
단위가 큰것에 보조축을 설정하는건가요 작은것에 보조축을 설정하는건가요?
데이터 단위라는게 불량률이 0% 1% 2% 이런 일의숫자단위이고
생산비용이 30,000,000 이정도의 단위인데
생산비용이 큰단위가 맞죠?
1. 옆의 꺾은 선형은 누적되는 것으로 값들이 누적되어 나타납니다.
2. 문제 그림에 보시면 생산비용이 오른쪽에 표시 됩니다.
그러므로 생산비용을 보조축으로 지정 한 것입니다.
왼쪽은 y축 이구요. 오른쪽은 보조y축 이므로 이렇게 지정 한 것이죠.
대부분이 값이 작은쪽을 보조축으로 지정 한 다는 것이지 꼭 그런것은 아닙니다.
그림을 보시고 확인 해 보시기 바랍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2012-02-22 22:17:11
1. 옆의 꺾은 선형은 누적되는 것으로 값들이 누적되어 나타납니다.
2. 문제 그림에 보시면 생산비용이 오른쪽에 표시 됩니다.
그러므로 생산비용을 보조축으로 지정 한 것입니다.
왼쪽은 y축 이구요. 오른쪽은 보조y축 이므로 이렇게 지정 한 것이죠.
대부분이 값이 작은쪽을 보조축으로 지정 한 다는 것이지 꼭 그런것은 아닙니다.
그림을 보시고 확인 해 보시기 바랍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