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문제에서 조건을 지정할 때 따옴표를 사용하는게, 이해가 잘 안됩니다.
문자를 사용할 때는 숫자가 아니기 때문이라고 이해를 하는데요, 수식에 따옴표를 사용하는 이유는 뭔지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어떤 겨우에 그래야하는지도 모르겠어요.
기본 모의 고사 8회 계산3
=ABS(SUMIF(G11:G15,">=10",J:11J15)-(G11:G15,"<10",J:11J15)
기본 모의고사 9회계산 1
=COUNTIF(C3:C10,"<80")+COUNTIF(C3:C10,"<80")
이런 문제들 말입니다.
기본편에도 많이 나오고, 함수에 기본인 것 같은데...
해설 부탁드립니다.
sumif 와 countif 의 사용법입니다. 이 함수의 조건은 "" 로 묶어 표시 해야 하므로
">=10" 과 같이 사용한 것입니다.
아시는대로 "" 는 문자일때 사용하는데요.
left, right, mid 함수의 경우 텍스트 함수이므로 여기서 나온 값은 숫자이더라도 문자 형태로 나타나게 됩니다.
그러므로 비교할때 문자로 비교해야 하므로
left(a1,1)="1"
과 같이 문자로 비교해야 하는 것이죠.
좋은 하루 되세요.
"-
*2012-02-20 19:50:37
sumif 와 countif 의 사용법입니다. 이 함수의 조건은 "" 로 묶어 표시 해야 하므로
">=10" 과 같이 사용한 것입니다.
아시는대로 "" 는 문자일때 사용하는데요.
left, right, mid 함수의 경우 텍스트 함수이므로 여기서 나온 값은 숫자이더라도 문자 형태로 나타나게 됩니다.
그러므로 비교할때 문자로 비교해야 하므로
left(a1,1)="1"
과 같이 문자로 비교해야 하는 것이죠.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