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OOKUP에서요. FALSE,TRUE값중
생략해도 되는값이 0 이잖아요 값이 TRUE값입니까 FALSE값입니까?
FALSE값으로 알고있는데요.맞나요?
이 개념이 자세히 안잡혀서요.
확실이 알고 넘어가야 될거 같아서요..
어떨때 TRUE값을 쓰고 어떨때 FALSE값을 쓰는건가요?ㅠㅠ
생략하면 true 구요.
false 는 0 true는 1 입니다.
옵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 드릴께요..
true(1) 또는 생략 : 근사값을 찾습니다. 즉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찾을값 보다 작은 값 중에서 근사값을 찾습니다.
false :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으며 정확히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n/a" 오류값을 반환합니다.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을때 FALSE를 사용합니다.
숫자일때 false를 쓰는 경우는 범위로 지정된 첫번째 행이나 열의 값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
FALSE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는
범위의 첫번째 열에 있는 데이터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을때 정확히 일치하는 값 또는 문자를 찾을때도 false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범위의 첫 번째 열에 있는 값이 가, 나, 다, 라 또는 a, b, c, e 등과 같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다면 문자를 찾을때도 false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생략했을때 올바른 값이 나온다면 생략하여 사용 할 수 있습니다.
함수는 제시된 함수를 사용하고 올바른 값이 나온다면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범위의 첫번째 열이 정렬되어 있다 라는 것은
1 2 3 4 6 9 10 과 같이 정렬된 것을 말합니다. 혹은
가 나 다 라 마 바 사 등과 같이 정렬된 것도 말하죠.
정렬되지 않았다 라는 것은
3 5 1 2 10 9 와 같이 된 것을 말하구요.
나 다 가 마 사 도 마찮가지로 정렬되지 않은 것입니다.
문제의 첫번째 열이 정렬이 된 상태인지 뒤죽박죽으로 섞인 상태인지 모시고 정렬이 되어 있다면 false 를 생략 하셔도 됩니다.
하지만 정렬이 되지 않았다면 근사값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false 를 입력 하셔서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아 주셔야 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2011-10-26 11:15:30
생략하면 true 구요.
false 는 0 true는 1 입니다.
옵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 드릴께요..
true(1) 또는 생략 : 근사값을 찾습니다. 즉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찾을값 보다 작은 값 중에서 근사값을 찾습니다.false :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으며 정확히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n/a" 오류값을 반환합니다.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을때 FALSE를 사용합니다.
숫자일때 false를 쓰는 경우는 범위로 지정된 첫번째 행이나 열의 값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FALSE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는
범위의 첫번째 열에 있는 데이터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을때 정확히 일치하는 값 또는 문자를 찾을때도 false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범위의 첫 번째 열에 있는 값이 가, 나, 다, 라 또는 a, b, c, e 등과 같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다면 문자를 찾을때도 false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생략했을때 올바른 값이 나온다면 생략하여 사용 할 수 있습니다.
함수는 제시된 함수를 사용하고 올바른 값이 나온다면 정답으로 인정됩니다.범위의 첫번째 열이 정렬되어 있다 라는 것은
1 2 3 4 6 9 10 과 같이 정렬된 것을 말합니다. 혹은
가 나 다 라 마 바 사 등과 같이 정렬된 것도 말하죠.
정렬되지 않았다 라는 것은
3 5 1 2 10 9 와 같이 된 것을 말하구요.
나 다 가 마 사 도 마찮가지로 정렬되지 않은 것입니다.
문제의 첫번째 열이 정렬이 된 상태인지 뒤죽박죽으로 섞인 상태인지 모시고 정렬이 되어 있다면 false 를 생략 하셔도 됩니다.
하지만 정렬이 되지 않았다면 근사값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false 를 입력 하셔서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아 주셔야 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