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번에 1번 문제를보면
=vlookup(mid(A3,5,1)$A$12:$C$14,3,FALSE) 라고 적혀있는데
여기서 왜 A3다음에 5와 1이 들어가있는거죠?
그리고 뒤에 3을 왜 하는거에요?
대출상품에서 3번째여서 라고 하던데
왜 3번쨰 인거죠?
문제는 그냥 각 고객의 대출금리를 표시하라는건데..
mid 함수는 가운데 있는 값을 가져올때 사용하죠
문제에서 접수코드의 맨앞에서 5번째 문자와~
라는 말이 있으므로
mid 함수로 5번째에 위치한 문자를 찾는 것입니다.
001-3-1121
에서 5번째문자에서 1개만 가져오면
3이 되죠? 이것을 가져오기 위해
mid(A3,5,1)
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mid(텍스트,시작위치,개수) 로 시작위치에서 개수만큼 가져오는 함수입니다.
함수사전에 보시면 설명이 있으니 함수사전에서 사용법을 찾아보세요.
뒷쪽의 3은
vlookup 함수의 것입니다.
vlookup(찾을값, 범위,열,옵션)
인데 열에 해당하는 것이죠. 즉 범위중 3번째 열을 뜻하는 것입니다.
범위가 $A$12:$C$14로 코드, 대출상품, 대출금리에 대한 값을 포함하고
첫번째 열은 코드, 두번째열은 대출상품, 세번째열은 대출금리 이므로
vlookup에서 3을 지정 한 것은 찾을값(코드)에 맞는 값에 해당하는 대출금리를 찾기 위한 것입니다.
함수 부분이 이해가 어려우시다면
함수 부록사전을 참고하여 함수 사용법을 익혀가면서 학습해 보세요.
좋은 하루 되세요.
"-
*2011-09-01 11:03:25
mid 함수는 가운데 있는 값을 가져올때 사용하죠
문제에서 접수코드의 맨앞에서 5번째 문자와~
라는 말이 있으므로
mid 함수로 5번째에 위치한 문자를 찾는 것입니다.
001-3-1121
에서 5번째문자에서 1개만 가져오면
3이 되죠? 이것을 가져오기 위해
mid(A3,5,1)
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mid(텍스트,시작위치,개수) 로 시작위치에서 개수만큼 가져오는 함수입니다.
함수사전에 보시면 설명이 있으니 함수사전에서 사용법을 찾아보세요.
뒷쪽의 3은
vlookup 함수의 것입니다.
vlookup(찾을값, 범위,열,옵션)
인데 열에 해당하는 것이죠. 즉 범위중 3번째 열을 뜻하는 것입니다.
범위가 $A$12:$C$14로 코드, 대출상품, 대출금리에 대한 값을 포함하고
첫번째 열은 코드, 두번째열은 대출상품, 세번째열은 대출금리 이므로
vlookup에서 3을 지정 한 것은 찾을값(코드)에 맞는 값에 해당하는 대출금리를 찾기 위한 것입니다.
함수 부분이 이해가 어려우시다면
함수 부록사전을 참고하여 함수 사용법을 익혀가면서 학습해 보세요.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