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P
HLOOKUP(어쩌고,2 )* I3
에서요
FALSE는 왜안붙나요
책에는 FALSE는 정확하게 일치하는값을 찾는다는대
뭐가 뭐랑정확히 일치한다는건지;
책너무간단하게 나와서 뭐래는건지모르겟어요
<표2>에 상품코드 33이랑 <상품단가표>에 33이랑 일치하는대 FALSE쓰는거아닌가요
여기서 왜 FALSE안쓰는지설명해주세요
상품단가표의 첫행의 데이터가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false 를 사용하지 않아도 정확한 결과가 나오기 때문에 false 를 사용하지 않은 것입니다.
11 22 33 44
과 같이 정렬된 상태기 때문이죠.
true(1) 또는 생략 : 근사값을 찾습니다. 즉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찾을값 보다 작은 값 중에서 근사값을 찾습니다.
false :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으며 정확히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n/a" 오류값을 반환합니다.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을때 FALSE를 사용합니다.
숫자일때 false를 쓰는 경우는 범위로 지정된 첫번째 행이나 열의 값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
FALSE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는
범위의 첫번째 열에 있는 데이터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을때 정확히 일치하는 값 또는 문자를 찾을때도 false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범위의 첫 번째 열에 있는 값이 가, 나, 다, 라 또는 a, b, c, e 등과 같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다면 문자를 찾을때도 false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보통 true 를 사용할때 값이 1,3, 5, 7, 9 와 같이 오름차순으로 정렬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근사치도 찾을 수 있는데요.
이렇게 정렬되지 않은 상태라면 true 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생략했을때 올바른 값이 나온다면 생략하여 사용 할 수 있습니다.
함수는 제시된 함수를 사용하고 올바른 값이 나온다면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2011-08-25 13:46:59
상품단가표의 첫행의 데이터가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false 를 사용하지 않아도 정확한 결과가 나오기 때문에 false 를 사용하지 않은 것입니다.
11 22 33 44
과 같이 정렬된 상태기 때문이죠.
true(1) 또는 생략 : 근사값을 찾습니다. 즉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찾을값 보다 작은 값 중에서 근사값을 찾습니다.
false :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으며 정확히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n/a" 오류값을 반환합니다.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을때 FALSE를 사용합니다.
숫자일때 false를 쓰는 경우는 범위로 지정된 첫번째 행이나 열의 값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FALSE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는
범위의 첫번째 열에 있는 데이터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을때 정확히 일치하는 값 또는 문자를 찾을때도 false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범위의 첫 번째 열에 있는 값이 가, 나, 다, 라 또는 a, b, c, e 등과 같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다면 문자를 찾을때도 false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보통 true 를 사용할때 값이 1,3, 5, 7, 9 와 같이 오름차순으로 정렬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근사치도 찾을 수 있는데요.
이렇게 정렬되지 않은 상태라면 true 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생략했을때 올바른 값이 나온다면 생략하여 사용 할 수 있습니다.
함수는 제시된 함수를 사용하고 올바른 값이 나온다면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