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는 199쪽인데섹션18 실제시험장을 옮겨놓았다문제에서
계산작업에서 표2 문제에 식을 세우면 =choose(mod(mid(g3,8,1),5),"남자","여자","남자","여자")
가 되는데요 5라는 숫자가 왜 식에 들어가는지 이해가 안되네요
가르쳐주세요~~ㅠ
=choose(mod(mid(g3,8,1),5),"남자","여자","남자","여자")라는 식에서
mod(mid(g3,8,1),5)의 값이 1일경우 첫번째를 고르고,2면 두번째,3은 세번째,4는 네번째를 고르죠..
그럼 주민번호 에서 8번째에서 한개를 가져와 보면 1,2,3,4중 하나겠쬬...mod는 나머지를 구하는 함수인데..나머지가 1 또는 2, 또는 3, 또는 4가 나올려면 5로 나누는 겁니다...
-
*2011-05-25 12:08:37
=choose(mod(mid(g3,8,1),5),"남자","여자","남자","여자")라는 식에서
mod(mid(g3,8,1),5)의 값이 1일경우 첫번째를 고르고,2면 두번째,3은 세번째,4는 네번째를 고르죠..
그럼 주민번호 에서 8번째에서 한개를 가져와 보면 1,2,3,4중 하나겠쬬...mod는 나머지를 구하는 함수인데..나머지가 1 또는 2, 또는 3, 또는 4가 나올려면 5로 나누는 겁니다...
-
*2011-05-25 15:54:12
mid 함수에서 나온 값은 숫자일지라도 문자료 표현 됩니다.
choose 함수에서는 문자를 인식하지 못하므로 숫자로 바꿔줘야 하는데 숫자로 바꿔주는 것이 mod함수입니다.
(mod함수가 없이도 정답이 나올 수 있지만 mod 함수도 사용해야 하므로 꼭 사용하셔야 합니다.)
mid 함수에서 나온 1,2,3,4 값을 5로 나누면
1은 나머지가 1, 2는 나머지가2, 3은 나머지가 3, 4는 나머지가4 가 나오게 됩니다.
이렇게 하여 남자와 여자를 구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