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를 풀다 이해가 안가서요
2011
기본 모의고사(03회)
P235
5번
답: dcounta((A29:C39,3,B41:B42) &"일"
dcounta 함수가 조건에 맞는 데이터에서 공백이 아닌 데이터의 개수를 구함 인데요
공백이 아닌 데이터 개수를 구하는 것지만 공백이 없는데요
첨에 셀 공간이 있었는데 B41:B42(상태:쾌적)으로 넣어죠거든요
공백이 없는데 왜 이 함수를 쓰죠?
이해가 안가서요
책으로 보시고 설명 부탁드립니다.
상세하게 답변부탁드립니다
dcount 는 숫자가 있는 셀의 개수를 세는 것이죠.
그런데 지금 범위ㅔ 숫자가 없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dcounta 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공백이 아닌 데이터 즉 자료가 입력되어 있으면 모두 세게 되는데요.
보통은 문자가 들어 있는 셀의 개수를 세는 경우에 많이 사용됩니다.
그리고 꼭 공백이 있을 필요도 없죠. 그냥 공백이 아닌것을 세는 것이니까요.(채워진 값만 센다 라고생각하셔야겠죠.)
좋은 하루 되세요.
"-
*2011-05-11 10:46:29
dcount 는 숫자가 있는 셀의 개수를 세는 것이죠.
그런데 지금 범위ㅔ 숫자가 없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dcounta 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공백이 아닌 데이터 즉 자료가 입력되어 있으면 모두 세게 되는데요.
보통은 문자가 들어 있는 셀의 개수를 세는 경우에 많이 사용됩니다.
그리고 꼭 공백이 있을 필요도 없죠. 그냥 공백이 아닌것을 세는 것이니까요.(채워진 값만 센다 라고생각하셔야겠죠.)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