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시형식에 대해서 질문 올린거에 대한 답변인데(아래)
그런 0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만약 500 이라는 값이 있다면 이것은
#, 로 쓰게 되면 천단위가 안되기때문에 0으로 나타납니다. 하지만
#,"천원" 으로 하게 되면 그냥 천원 만 나타나기 때문에
0, "천원 으로 해주서야 0천원 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죠.
끝에 쉼표가 천단위 배수로 지정 하는 것입니다. 1,000 이라는 값이 있으면 #, 을 지정 하면 1 로 나타나게 되죠
500 을 사용자지정에가서 #, 로 쓰면 1로 표시되는데요? 0으로 나타난다매요.. 1 로나타나요.
어떻게된거에요??
500이랑 1000둘다 #, 으로하나 0, 으로 하나 둘다 1로나타나요~~
뒤에 천원은 붙이냐 안붙이냐 차이라서 상관없구요 ,,
뭐어떻게 된건지 설명좀 해주세요
그리고 진짜진짜진~~~~~~~자 도저히 이해가 안가서요
기본7횡 계산문제4번
소속 코드표를 보면 Y면 영업부, K면 관리부--- 이런식으로 나가잖아요,,
그럼 VLOOKUP이 되야하는거 아닌가요??
HLOOKUP일려면 참조표가
Y | 영업부 |
K | 관리부 |
G | 경리부 |
P | 판매부 |
이런식으로 되야하는거 아니가요??ㅜㅜ 진짜 백번천번 생각해봐도 이해가 안가아ㅛㅜ
아 죄송합니다. 500은 반올림이 되어 1로 나타나네요. 400 으로 정정 할께요. ^^ㅎ
찾을려고 하는 값이 맨왼쪽열에 있을때는 vlookup
찾을려고 하는 값이 첫행에 있을때는 hlookup
근무년수를 구할때 구하고자 하는 근무년수가 세로로 되어 있을때는 vlookup
근무년수를 구할때 구하고자하는 근무년수가 가로로 되어있을때 hlookup을 사용 합니다.
그림을 참고해 주세요.
좋은 하루 되세요.
-
*2011-04-18 12:04:28
아 죄송합니다. 500은 반올림이 되어 1로 나타나네요. 400 으로 정정 할께요. ^^ㅎ
찾을려고 하는 값이 맨왼쪽열에 있을때는 vlookup
"
찾을려고 하는 값이 첫행에 있을때는 hlookup
근무년수를 구할때 구하고자 하는 근무년수가 세로로 되어 있을때는 vlookup
근무년수를 구할때 구하고자하는 근무년수가 가로로 되어있을때 hlookup을 사용 합니다.
그림을 참고해 주세요.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