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에서 276쪽 함수 1번 문제 답글 보고 이해는 했는데요..
왜 꼭 10으로 나눠야 하나요..?
이렇게 어려운 문제도 나올까요?ㅠ ㅠ
맞추는 사람은 있겟죠...?
10 으로 나누는 이유는
10을 10 으로 나누면 1이 나옵니다.
choose 함수가 반환하는 값이 1 이 나오면 첫번째 인수의 값을 2가 나오면 2번째 인수의 값을 표시하기 때문에
1~9 까지는 10으로 나눠서 정수만 표시해서 0으로 표시되고
10~19까지는 1
20~29까지는 2...
이렇게 표시하게 되죠.
이것을 choose 함수의 값으로 반환하고 이 값을 가지고 인수 1의 값을 표시하거나 2, 3의 값을 표시하게 됩니다.
1~9까지의 값이 0이 나오기 때문에 choose 함수의 첫번째 인수가 1의 값을 가졌을때 반환하기 때문에
이를 표시하기 위해 +1 을 하게 되는 것이죠.
이문제도 계속 풀어보시면 이해하고 풀수 있을 것입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2016-05-13 22:51:29
10 으로 나누는 이유는
10을 10 으로 나누면 1이 나옵니다.
choose 함수가 반환하는 값이 1 이 나오면 첫번째 인수의 값을 2가 나오면 2번째 인수의 값을 표시하기 때문에
1~9 까지는 10으로 나눠서 정수만 표시해서 0으로 표시되고
10~19까지는 1
20~29까지는 2...
이렇게 표시하게 되죠.
이것을 choose 함수의 값으로 반환하고 이 값을 가지고 인수 1의 값을 표시하거나 2, 3의 값을 표시하게 됩니다.
1~9까지의 값이 0이 나오기 때문에 choose 함수의 첫번째 인수가 1의 값을 가졌을때 반환하기 때문에
이를 표시하기 위해 +1 을 하게 되는 것이죠.
이문제도 계속 풀어보시면 이해하고 풀수 있을 것입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