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유사일치? 정확하게 일치?
도서
2016 시나공 컴퓨터활용능력 2급 실기
페이지
99
조회수
126
작성일
2016-01-26
작성자
첨부파일

잘문1

부록99p 실전모의고사 4번에 직위에따라 상여비율 책정되잖아요

어차피 직위 다 정해져있으니까

굳이 정확히일치 체크 안해도 상관없지 않나요??

왜 정확하게일치 체크를 해야되나용?

유사일치와 정확하게일치 기준,개념을 알려주세요^^;

질문2

그리고 99P 5번에 기획부만 제외하고싶을때 <> 등호를 쓰잖아요

근데 어떻게 "기획부"가 숫자가 아닌데 어떻게 <>등호를 쓸수있나요?

질문3

부록105p 3번문제요.. 1~3위가 A등급인데

왜 풀이에선 RANK(D15,$D$15$D$23,1)<=3,"A"

이런식으로... 왜 조건이 3보다 작거나 같다고 <=3 을 쓰나요?

답변
2016-01-28 05:56:54

1.

옵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 드릴께요..

true(1) 또는 생략 : 근사값을 찾습니다. 즉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찾을값 보다 작은 값 중에서 근사값을 찾습니다.

false :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으며 정확히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n/a" 오류값을 반환합니다.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을때 FALSE를 사용합니다.


숫자일때 false를 쓰는 경우는 범위로 지정된 첫번째 행이나 열의 값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

FALSE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는


범위의 첫번째 열에 있는 데이터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을때 정확히 일치하는 값 또는 문자를 찾을때도 false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범위의 첫 번째 열에 있는 값이 가, 나, 다, 라 또는 a, b, c, e 등과 같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다면 문자를 찾을때도 false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생략했을때 올바른 값이 나온다면 생략하여 사용 할 수 있습니다.
함수는 제시된 함수를 사용하고 올바른 값이 나온다면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범위의 첫번째 열이 정렬되어 있다 라는 것은

1 2 3 4 6 9 10 과 같이 정렬된 것을 말합니다. 혹은

가 나 다 라 마 바 사 등과 같이 정렬된 것도 말하죠.

정렬되지 않았다 라는 것은

3 5 1 2 10 9 와 같이 된 것을 말하구요.

나 다 가 마 사 도 마찮가지로 정렬되지 않은 것입니다.

문제의 첫번째 열이 정렬이 된 상태인지 뒤죽박죽으로 섞인 상태인지 모시고 정렬이 되어 있다면 false 를 생략 하셔도 됩니다.

하지만 정렬이 되지 않았다면 근사값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false 를 입력 하셔서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아 주셔야 합니다.

2. <> 은 같지 않다, ~이 아닌 으로 사용되므로 숫자가 아니어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획부" 로 지정하면 기획부가 아닌 으로 설정 가능한 것이죠.

3. rank 에서 나온 결과중 1,2,3 위를 구하면 문제에서 원하는 1~3 등을 구할 수 있죠.

그러므로 3이하의 값을 찾게 되는 것입니다. rank 에서 나온 값중 3이하의 값을 찾기 위해 <=3 으로 작성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
    2016-01-28 05:56:54

    1.

    옵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 드릴께요..

    true(1) 또는 생략 : 근사값을 찾습니다. 즉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찾을값 보다 작은 값 중에서 근사값을 찾습니다.

    false :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으며 정확히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n/a" 오류값을 반환합니다.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을때 FALSE를 사용합니다.


    숫자일때 false를 쓰는 경우는 범위로 지정된 첫번째 행이나 열의 값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

    FALSE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는


    범위의 첫번째 열에 있는 데이터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을때 정확히 일치하는 값 또는 문자를 찾을때도 false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범위의 첫 번째 열에 있는 값이 가, 나, 다, 라 또는 a, b, c, e 등과 같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다면 문자를 찾을때도 false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생략했을때 올바른 값이 나온다면 생략하여 사용 할 수 있습니다.
    함수는 제시된 함수를 사용하고 올바른 값이 나온다면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범위의 첫번째 열이 정렬되어 있다 라는 것은

    1 2 3 4 6 9 10 과 같이 정렬된 것을 말합니다. 혹은

    가 나 다 라 마 바 사 등과 같이 정렬된 것도 말하죠.

    정렬되지 않았다 라는 것은

    3 5 1 2 10 9 와 같이 된 것을 말하구요.

    나 다 가 마 사 도 마찮가지로 정렬되지 않은 것입니다.

    문제의 첫번째 열이 정렬이 된 상태인지 뒤죽박죽으로 섞인 상태인지 모시고 정렬이 되어 있다면 false 를 생략 하셔도 됩니다.

    하지만 정렬이 되지 않았다면 근사값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false 를 입력 하셔서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아 주셔야 합니다.

    2. <> 은 같지 않다, ~이 아닌 으로 사용되므로 숫자가 아니어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획부" 로 지정하면 기획부가 아닌 으로 설정 가능한 것이죠.

    3. rank 에서 나온 결과중 1,2,3 위를 구하면 문제에서 원하는 1~3 등을 구할 수 있죠.

    그러므로 3이하의 값을 찾게 되는 것입니다. rank 에서 나온 값중 3이하의 값을 찾기 위해 <=3 으로 작성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