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2014 컴활2급 실기 질문입니다.
도서
[2014] 컴퓨터활용능력 2급 실기(엑셀 2007 사용자용)
페이지
88
조회수
104
작성일
2015-02-03
작성자
첨부파일

1. 88페이지 위쪽 수식의 이해 부분에서 이해가 안가요

본문중에 "3"은 숫자 형태를 갖고 있지만 문자 데이터입니다,. 라고 적혀있는데 숫자형태지만 왜 문자인가요?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그리고 옵션을 지정하지 않거나 true로 설정하려면 범위의 첫 번째 열은 반드시 정렬이 되어있어야 합니다.

첫번째 열이 어디를 말하는건가요?

2. 92페이지 질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찾을 값이 숫자 일때는 true 문자일때는 false를 사용한다고 했는데

92 수식에 이해 부분에서 찾을 값이라고 한다면 90 을 말하는건가요 도지영을 말하는건가요?

찾을 값이 90 이라고 한다면 숫자 이기때문에 true를 사용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답변
2015-02-04 04:08:29

1. 3이 입력된 셀을 선택한 후 오른쪽 클릭 -> 셀서식 -> 표시형식을 확인 해 보세요.

이부분에 일반이나 숫자이면 숫자형식이지만

텍스트 이면 문자형식입니다.

옵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 드릴께요..

true(1) 또는 생략 : 근사값을 찾습니다. 즉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찾을값 보다 작은 값 중에서 근사값을 찾습니다.

false :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으며 정확히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n/a" 오류값을 반환합니다.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을때 FALSE를 사용합니다.


숫자일때 false를 쓰는 경우는 범위로 지정된 첫번째 행이나 열의 값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

FALSE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는


범위의 첫번째 열에 있는 데이터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을때 정확히 일치하는 값 또는 문자를 찾을때도 false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범위의 첫 번째 열에 있는 값이 가, 나, 다, 라 또는 a, b, c, e 등과 같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다면 문자를 찾을때도 false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범위의 첫번째 열이 정렬되어 있다 라는 것은

1 2 3 4 6 9 10 과 같이 정렬된 것을 말합니다. 혹은

가 나 다 라 마 바 사 등과 같이 정렬된 것도 말하죠.

정렬되지 않았다 라는 것은

3 5 1 2 10 9 와 같이 된 것을 말하구요.

나 다 가 마 사 도 마찮가지로 정렬되지 않은 것입니다.

문제의 첫번째 열이 정렬이 된 상태인지 뒤죽박죽으로 섞인 상태인지 모시고 정렬이 되어 있다면 false 를 생략 하셔도 됩니다.

하지만 정렬이 되지 않았다면 근사값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false 를 입력 하셔서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아 주셔야 합니다.

생략했을때 올바른 값이 나온다면 생략하여 사용 할 수 있습니다.
함수는 제시된 함수를 사용하고 올바른 값이 나온다면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2. vlookup(large(g18:g26),~~

에서 찾을값은 large 의 결과입니다.

그러므로 90 값이 찾을 값이 되는 것이죠.

성적이 85,56,90,78... 등으로 정렬된 상태가 아니므로 true 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false 를 사용하여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아야 하죠.

좋은 하루 되세요.

"
  • *
    2015-02-04 04:08:29

    1. 3이 입력된 셀을 선택한 후 오른쪽 클릭 -> 셀서식 -> 표시형식을 확인 해 보세요.

    이부분에 일반이나 숫자이면 숫자형식이지만

    텍스트 이면 문자형식입니다.

    옵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 드릴께요..

    true(1) 또는 생략 : 근사값을 찾습니다. 즉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찾을값 보다 작은 값 중에서 근사값을 찾습니다.

    false :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으며 정확히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n/a" 오류값을 반환합니다.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을때 FALSE를 사용합니다.


    숫자일때 false를 쓰는 경우는 범위로 지정된 첫번째 행이나 열의 값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

    FALSE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는


    범위의 첫번째 열에 있는 데이터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을때 정확히 일치하는 값 또는 문자를 찾을때도 false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범위의 첫 번째 열에 있는 값이 가, 나, 다, 라 또는 a, b, c, e 등과 같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다면 문자를 찾을때도 false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범위의 첫번째 열이 정렬되어 있다 라는 것은

    1 2 3 4 6 9 10 과 같이 정렬된 것을 말합니다. 혹은

    가 나 다 라 마 바 사 등과 같이 정렬된 것도 말하죠.

    정렬되지 않았다 라는 것은

    3 5 1 2 10 9 와 같이 된 것을 말하구요.

    나 다 가 마 사 도 마찮가지로 정렬되지 않은 것입니다.

    문제의 첫번째 열이 정렬이 된 상태인지 뒤죽박죽으로 섞인 상태인지 모시고 정렬이 되어 있다면 false 를 생략 하셔도 됩니다.

    하지만 정렬이 되지 않았다면 근사값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false 를 입력 하셔서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아 주셔야 합니다.

    생략했을때 올바른 값이 나온다면 생략하여 사용 할 수 있습니다.
    함수는 제시된 함수를 사용하고 올바른 값이 나온다면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2. vlookup(large(g18:g26),~~

    에서 찾을값은 large 의 결과입니다.

    그러므로 90 값이 찾을 값이 되는 것이죠.

    성적이 85,56,90,78... 등으로 정렬된 상태가 아니므로 true 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false 를 사용하여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아야 하죠.

    좋은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