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작업-1번에서 독성에 보통독성앞에 문자요 기호->숫자형식->에서 비슷하게 생긴거 3선택하면 되는거아닌가요...똑같은거 선택했는데 답이틀리다고 나와요..ㅡㅡ
표시형식이 틀리다고 정답이아니래요...이럴경우도 틀린건가요
1. 별다른 지시사항이 없다면 키보드로 모두 입력해야 하므로 I(아이) 세게를 입력하셔야 하는 부분입니다.
2. 소수 자리수 한자리가 표시되면 되는 부분이고 사용자 정의 서식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홈 -> 표시형식에서 소수자리수를 지정하면 됩니다.
채점 프로그램이 정답과 정확히 일치해야 정답으로 인정 하므로 오답처리 된 것으로
실제 시험에서는 지시사항에 맞게 지정하시면 정답으로 인정 됩니다.
3.
choose 함수 사용법을 보시면(53p) =choose(인수,첫번째,두번째,...)
인수가 1이면 첫번째를, 2이면 두번째를,...
한마디로 요일 번호가 1이면 "일",2이면 "월",3이면 "화",4이면 "수",.....
= choose(c3,"일","월","화","수","목","금","토") 가 되는 것이지요.
점수가 0~9까지는 "가", 10~19 "가", 20~29 "가", 30~39 "가", 40~49 "가", 50~59 "가", 60~69 "양", 70~79 "미", 80~89 "우", 90~99 "수", 100 "수"가 되는 것입니다.
점수는 0~100 까지인데 이것은 choose 함수에 사용할 수 있는 1~9 의 값으로 작성하려면 나누는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나눠주고 나눈값의 정수만 취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1 을 하는 이유는 0~9값을 10으로 나누면 0이 나오기 때문에 0값은 choose 함수에서 사용할 수 없으므로 +1을 하여 1의 값을 만들어 주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1이 나오면 "가" 를 반영할 수 있도록
choose(int(d3/10)+1,"가",.....) 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int(d3/10)+1 을 하게 되면 1~6 이면 "가", 7이명 "양", 8이면 "미",9이면 "우", 10~11이면 "수" 가 되는 겁니다.
int(d3/10)+1 을 해주는 이유는 1~9의 점수가 나올때 10으로 나누게 되면 0이 반환됩니다. 그런데 choose함수는 0은 제외하고 1일때 부터 결과를 반영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1을 더해주고 "가"로 입력 하고 100점일때는 11점으로 "수" 를 반영 하게 되는 것입니다.
책에 설명되어 있듯이 81을 10으로 나누면 8이되고 거기에 +1을 하게되면 9가 됩니다.
80이상이면 "우" 가 되어야 하기때문에 9는 "우"로 맞게 됩니다.
4. 이름을 표시하기 위한 것입니다.
최고 호봉자의 이름을 표시해야 하므로 b13:d20 범위에서 3번째 열인 d열(이름) 에서 값을 가져오기 위한 것이죠.
좋은 하루 되세요.
-
*2014-07-01 01:34:14
1. 별다른 지시사항이 없다면 키보드로 모두 입력해야 하므로 I(아이) 세게를 입력하셔야 하는 부분입니다.
2. 소수 자리수 한자리가 표시되면 되는 부분이고 사용자 정의 서식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홈 -> 표시형식에서 소수자리수를 지정하면 됩니다.
채점 프로그램이 정답과 정확히 일치해야 정답으로 인정 하므로 오답처리 된 것으로
실제 시험에서는 지시사항에 맞게 지정하시면 정답으로 인정 됩니다.
3.
choose 함수 사용법을 보시면(53p) =choose(인수,첫번째,두번째,...)
인수가 1이면 첫번째를, 2이면 두번째를,...
한마디로 요일 번호가 1이면 "일",2이면 "월",3이면 "화",4이면 "수",.....
= choose(c3,"일","월","화","수","목","금","토") 가 되는 것이지요.
점수가 0~9까지는 "가", 10~19 "가", 20~29 "가", 30~39 "가", 40~49 "가", 50~59 "가", 60~69 "양", 70~79 "미", 80~89 "우", 90~99 "수", 100 "수"가 되는 것입니다.점수는 0~100 까지인데 이것은 choose 함수에 사용할 수 있는 1~9 의 값으로 작성하려면 나누는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나눠주고 나눈값의 정수만 취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1 을 하는 이유는 0~9값을 10으로 나누면 0이 나오기 때문에 0값은 choose 함수에서 사용할 수 없으므로 +1을 하여 1의 값을 만들어 주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1이 나오면 "가" 를 반영할 수 있도록
choose(int(d3/10)+1,"가",.....) 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int(d3/10)+1 을 하게 되면 1~6 이면 "가", 7이명 "양", 8이면 "미",9이면 "우", 10~11이면 "수" 가 되는 겁니다.
int(d3/10)+1 을 해주는 이유는 1~9의 점수가 나올때 10으로 나누게 되면 0이 반환됩니다. 그런데 choose함수는 0은 제외하고 1일때 부터 결과를 반영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1을 더해주고 "가"로 입력 하고 100점일때는 11점으로 "수" 를 반영 하게 되는 것입니다.
책에 설명되어 있듯이 81을 10으로 나누면 8이되고 거기에 +1을 하게되면 9가 됩니다.
80이상이면 "우" 가 되어야 하기때문에 9는 "우"로 맞게 됩니다.4. 이름을 표시하기 위한 것입니다.
최고 호봉자의 이름을 표시해야 하므로 b13:d20 범위에서 3번째 열인 d열(이름) 에서 값을 가져오기 위한 것이죠.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