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84쪽에 계산작업 1번 답이 어떻게 나오는지 모르겠어요....
2.
-315쪽에 1번계산작업에서 포상금지급율구하는 문제에서
->=IF(RANK(D3,$D$3:$D$7,0)=1,100%,IF(RANK(D3,$D$3:$D$7,0)=2,50%,10%))
답이 이건데
"100%","50%","10%" 라고 쓰면 왜 답이 아닌가요??
3.
-317쪽에 차트문제에서 ⑤에서 값을 지정하고 천 단위 구분 기호를 표시했는데 자꾸 틀리다고..
표시형식에서 숫자 누르고
(1,234,00)
(1,234,00)
-1,234,00
1,234,00
이 중에서 누르는 것 맞나요??
그림은 파일로 올렸는데 틀린이유를 모르겠어여ㅠㅠ
1.
choose 함수 사용법을 보시면(53p) =choose(인수,첫번째,두번째,...)
인수가 1이면 첫번째를, 2이면 두번째를,...
한마디로 요일 번호가 1이면 "일",2이면 "월",3이면 "화",4이면 "수",.....
= choose(c3,"일","월","화","수","목","금","토") 가 되는 것이지요.
문제에서
90이상이면 "A",70이상이면 "B", 50이상이면 "C",30이상이면 "D", 30미만이면 "F" 를 평점에 표시하라고 했기 때문입니다.
30미만이므로 0~29까지 입니다. 0~1까지 10으로 나누면 0이 나오기 때문에 +1 을 해서 1로 만들어주고
10~19까지 10으로 나누면 1 거기에 +1을 하면 2,
20~29까지 10으로 나누면 2 거기에 +1을 하면 3,
이 되므로 1,2,3 이 0~29까지의 값이됩니다. 그래서 choose의 인수가 1,2,3 일때 값을 반환하기 위해서
choose 인수의 첫번째,두번째, 세번째에 "F" 가 들어가는 것이죠.
그리고 +1 을 하는 이유는 0~9값을 10으로 나누면 0이 나오기 때문에 0값은 choose 함수에서 사용할 수 없으므로 +1을 하여 1의 값을 만들어 주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1이 나오면 "F" 를 반영할 수 있도록
choose(int(d3/10)+1,"F",.....) 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30미만인 것 즉 1,2,3 이라는 인수가 나온 것은 F가 되어야 하므로
choose(int(d3/10)+1,"F","F","F"...
로 사용하는 것이죠.
책에 설명되어 있듯이 81을 10으로 나누면 8이되고 거기에 +1을 하게되면 9가 됩니다.
80이상이면 "B" 가 되어야 하기때문에 9는 "B"로 맞게 됩니다.
2. "" 를 붙이면 숫자가 아니라 문자로 표시되기 때문입니다.
3. 채점 프로그램이 정답파일과 정확히 일치해야 정답으로 인정 하기 때문에 오답처리 된 것 같습니다.
정답 파일에서는 홈 -> 표시형식 -> , 를 사용하여 회계서식으로 표시한 것 같네요.
정확한 결과가 나온다면 어떤방법으로 하시든 지시사항에 맞게지정하시면 실제 시험에서는 정답으로 인정 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2014-06-27 14:00:36
1.
choose 함수 사용법을 보시면(53p) =choose(인수,첫번째,두번째,...)
인수가 1이면 첫번째를, 2이면 두번째를,...
한마디로 요일 번호가 1이면 "일",2이면 "월",3이면 "화",4이면 "수",.....
= choose(c3,"일","월","화","수","목","금","토") 가 되는 것이지요.문제에서
90이상이면 "A",70이상이면 "B", 50이상이면 "C",30이상이면 "D", 30미만이면 "F" 를 평점에 표시하라고 했기 때문입니다.
30미만이므로 0~29까지 입니다. 0~1까지 10으로 나누면 0이 나오기 때문에 +1 을 해서 1로 만들어주고
10~19까지 10으로 나누면 1 거기에 +1을 하면 2,
20~29까지 10으로 나누면 2 거기에 +1을 하면 3,
이 되므로 1,2,3 이 0~29까지의 값이됩니다. 그래서 choose의 인수가 1,2,3 일때 값을 반환하기 위해서
choose 인수의 첫번째,두번째, 세번째에 "F" 가 들어가는 것이죠.
그리고 +1 을 하는 이유는 0~9값을 10으로 나누면 0이 나오기 때문에 0값은 choose 함수에서 사용할 수 없으므로 +1을 하여 1의 값을 만들어 주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1이 나오면 "F" 를 반영할 수 있도록
choose(int(d3/10)+1,"F",.....) 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30미만인 것 즉 1,2,3 이라는 인수가 나온 것은 F가 되어야 하므로choose(int(d3/10)+1,"F","F","F"...
로 사용하는 것이죠.
책에 설명되어 있듯이 81을 10으로 나누면 8이되고 거기에 +1을 하게되면 9가 됩니다.
80이상이면 "B" 가 되어야 하기때문에 9는 "B"로 맞게 됩니다.2. "" 를 붙이면 숫자가 아니라 문자로 표시되기 때문입니다.
3. 채점 프로그램이 정답파일과 정확히 일치해야 정답으로 인정 하기 때문에 오답처리 된 것 같습니다.
정답 파일에서는 홈 -> 표시형식 -> , 를 사용하여 회계서식으로 표시한 것 같네요.
정확한 결과가 나온다면 어떤방법으로 하시든 지시사항에 맞게지정하시면 실제 시험에서는 정답으로 인정 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