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에 해당되는 시험문제를 풀어봤습니다.'
DCOUNT에 대한 답변을 저는 3번으로 했는데 답은 1번 이더군요..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키가 있는 열은 C로 3번째 열인데, 정답은 열 번호가 2번째 로 되어 있는데
이부분 이해가 안 갑니다ㅠ
안녕하세요.
32번 문제는 옳지 않은 것을 찾는 문제입니다. 이점을 생각하고 다시 풀어보시기 바랍니다.
DCOUNT(범위, 열 번호, 조건)는 해당 범위에서 조건에 맞는 자료를 대상으로 지정된 열에서 수치 데이터가 있는 셀의 개수를 계산합니다. ①번 ‘=DCOUNT(A1:D5, 2, F2:F3)’의 경우 열 번호로 지정된 두 번째 열에는 수치 데이터가 아닌 텍스트가 입력되어 있으므로 조건에 상관없이 결과가 0으로 표시됩니다. 각각의 보기를 살펴보겠습니다.
①=DCOUNT(A1:D5, 2, F2:F3): [A1:D5] 범위에서 조건(F2:F3)에 맞는 자료를 대상으로 지정된 열(2)에서 숫자가 입력된 셀의 개수를 계산합니다. 지정된 열에는 수치 데이터가 없으므로 0을 반환합니다.
② =DCOUNTA(A1:D5, 2, F2:F3): [A1:D5] 범위에서 조건(F2:F3)에 맞는 자료를 대상으로 지정된 열(2)에서 비어 있지 않은 셀의 개수를 계산하므로 2를 반환합니다.
③ =DCOUNT(A1:D5, 3, F2:F3): [A1:D5] 범위에서 조건(F2:F3)에 맞는 자료를 대상으로 지정된 열(3)에서 숫자가 입력된 셀의 개수를 계산하므로 2를 반환합니다.
④ =DCOUNTA(A1:D5, 3, F2:F3): [A1:D5] 범위에서 조건(F2:F3)에 맞는 자료를 대상으로 지정된 열(3)에서 비어 있지 않은 셀의 개수를 계산하므로 2를 반환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3-11-25 10:11:16
안녕하세요.
32번 문제는 옳지 않은 것을 찾는 문제입니다. 이점을 생각하고 다시 풀어보시기 바랍니다.
DCOUNT(범위, 열 번호, 조건)는 해당 범위에서 조건에 맞는 자료를 대상으로 지정된 열에서 수치 데이터가 있는 셀의 개수를 계산합니다. ①번 ‘=DCOUNT(A1:D5, 2, F2:F3)’의 경우 열 번호로 지정된 두 번째 열에는 수치 데이터가 아닌 텍스트가 입력되어 있으므로 조건에 상관없이 결과가 0으로 표시됩니다. 각각의 보기를 살펴보겠습니다.
①=DCOUNT(A1:D5, 2, F2:F3): [A1:D5] 범위에서 조건(F2:F3)에 맞는 자료를 대상으로 지정된 열(2)에서 숫자가 입력된 셀의 개수를 계산합니다. 지정된 열에는 수치 데이터가 없으므로 0을 반환합니다.
② =DCOUNTA(A1:D5, 2, F2:F3): [A1:D5] 범위에서 조건(F2:F3)에 맞는 자료를 대상으로 지정된 열(2)에서 비어 있지 않은 셀의 개수를 계산하므로 2를 반환합니다.
③ =DCOUNT(A1:D5, 3, F2:F3): [A1:D5] 범위에서 조건(F2:F3)에 맞는 자료를 대상으로 지정된 열(3)에서 숫자가 입력된 셀의 개수를 계산하므로 2를 반환합니다.
④ =DCOUNTA(A1:D5, 3, F2:F3): [A1:D5] 범위에서 조건(F2:F3)에 맞는 자료를 대상으로 지정된 열(3)에서 비어 있지 않은 셀의 개수를 계산하므로 2를 반환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