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수식활용-논리함수
문제1번)
3번 '우거진'사원의 실적,영어회화,컴퓨터 점수 중 90점 이상인 점수의 평균을 계산햇을 떄 오류가 발생하면 '없음',아니면 90점 이상인 점수의 평균을 입력할 것
의 답이 G7:=ifERROR(AVERAGEIF(D7:F7,">=90"),없음")->없음
위의 식에서 ->는 왜 쓰인건가요??질문에서는 오류가 발생하면 없음,아니면 90점 이상의 점수의 평균을 입력할 것으로 되어있는데 왜저렇게 식이 쓰인거죠??
문제4번 "유호연"사원의 주민등록번호 중 8번째 자리가 1 또는 3이면 남자,2또는4이면 여자를 입력할 것
4번답 G9:=IF(OR(MID(B9,8,1)="1",MID(B9,8,1)="3"),"남자","여자")->여자
문제는 주민등록번호 중 8번쨰 자리가 1 또는 3이면 남자, 2또는 4이면 여자를 입력하라고 했는데,2또는 4가 쓰이지도 않고 위의식처럼 쓰인 이유가 뭔가요??특히 식에서 ->표는 왜쓰인거죠?이해가 안갑니다.
문제5번 '차한도'사원의 실적, 영어 회화, 컴퓨터 점수가 모두 60점 이상이면 '통과'아니면 '과목미달'을 표시(단,IF함수만 사용)
5번답 G11:=If(D11>=60,IF(E11>=60,if(F11>=60,"통과","과목미달"),"과목미달"),"과목미달")->과목미달
로 쓰였는데 문제는 차한도 사원의 실적, 영어회화, 컴퓨터 점수가 모두 60점 이상이면 통과, 아니면 과목미달을 표시라고 햇는데 과목미달이 왜이렇게 많이 쓰인건가요?그리고 위의 답처럼 식이 쓰인 이유가 뭔가요??정말 모르겠어요
안녕하세요.
문제1번)
3번 '우거진'사원의 실적,영어회화,컴퓨터 점수 중 90점 이상인 점수의 평균을 계산햇을 떄 오류가 발생하면 '없음',아니면 90점 이상인 점수의 평균을 입력할 것
의 답이 G7:=ifERROR(AVERAGEIF(D7:F7,">=90"),없음")->없음
위의 식에서 ->는 왜 쓰인건가요??질문에서는 오류가 발생하면 없음,아니면 90점 이상의 점수의 평균을 입력할 것으로 되어있는데 왜저렇게 식이 쓰인거죠??
-> IFERROR(인수, 오류 시 표시할 값) 함수는 ‘인수’로 지정한 수식이나 셀에서 오류가 발생했으면 ‘오류 시 표시할 값’을 반환하고, 그렇지 않으면 결과값을 반환합니다. 즉, 인수로 지정한 AVERAGEIF(D7:F7,">=90")라는 수식이 오류가 발생하면 "없음"을 표시하고 값이 정상적으로 계산되면 해당 값을 표시합니다.
문제4번 "유호연"사원의 주민등록번호 중 8번째 자리가 1 또는 3이면 남자,2또는4이면 여자를 입력할 것
4번답 G9:=IF(OR(MID(B9,8,1)="1",MID(B9,8,1)="3"),"남자","여자")->여자
문제는 주민등록번호 중 8번쨰 자리가 1 또는 3이면 남자, 2또는 4이면 여자를 입력하라고 했는데,2또는 4가 쓰이지도 않고 위의식처럼 쓰인 이유가 뭔가요??특히 식에서 ->표는 왜쓰인거죠?이해가 안갑니다.
-> IF(조건, 인수1, 인수2) 함수는 조건을 비교하여 ‘참’이면 인수1,‘ 거짓’이면 인수2를 실행합니다
=IF(OR(MID(B9,8,1)="1",MID(B9,8,1)="3"),"남자","여자")
조건 참 거짓
조건이 참이면 "남자", 조건이 거짓이면 "여자"를 넣습니다. 주민등록번호의 8번째 자리의 숫자는 1, 2, 3, 4 이 외의 값은 없습니다. 그러므로 1과 3인지를 비교하여 참일 경우는 남자를 넣고, 그외 즉 1, 2, 3, 4 에서 1, 3을 제외한 2, 4인 경우는 여자가 들어가게 되는 것입니다.
문제5번 '차한도'사원의 실적, 영어 회화, 컴퓨터 점수가 모두 60점 이상이면 '통과'아니면 '과목미달'을 표시(단,IF함수만 사용)
5번답 G11:=If(D11>=60,IF(E11>=60,if(F11>=60,"통과","과목미달"),"과목미달"),"과목미달")->과목미달
로 쓰였는데 문제는 차한도 사원의 실적, 영어회화, 컴퓨터 점수가 모두 60점 이상이면 통과, 아니면 과목미달을 표시라고 햇는데 과목미달이 왜이렇게 많이 쓰인건가요?그리고 위의 답처럼 식이 쓰인 이유가 뭔가요??정말 모르겠어요
-> :=If(D11>=60,IF(E11>=60,if(F11>=60,"통과","과목미달"),"과목미달"),"과목미달")->
빨강색 과목미달은 빨강색 if 문이 거짓일때 들어값 값이고, 하늘색 미달은 하늘색 if 문이 거짓일때, 분홍색 과목미달은 분홍색 if 문이 거짓일때 들어갈 값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11-02 09:48:37
안녕하세요.
문제1번)
3번 '우거진'사원의 실적,영어회화,컴퓨터 점수 중 90점 이상인 점수의 평균을 계산햇을 떄 오류가 발생하면 '없음',아니면 90점 이상인 점수의 평균을 입력할 것
의 답이 G7:=ifERROR(AVERAGEIF(D7:F7,">=90"),없음")->없음
위의 식에서 ->는 왜 쓰인건가요??질문에서는 오류가 발생하면 없음,아니면 90점 이상의 점수의 평균을 입력할 것으로 되어있는데 왜저렇게 식이 쓰인거죠??
-> IFERROR(인수, 오류 시 표시할 값) 함수는 ‘인수’로 지정한 수식이나 셀에서 오류가 발생했으면 ‘오류 시 표시할 값’을 반환하고, 그렇지 않으면 결과값을 반환합니다. 즉, 인수로 지정한 AVERAGEIF(D7:F7,">=90")라는 수식이 오류가 발생하면 "없음"을 표시하고 값이 정상적으로 계산되면 해당 값을 표시합니다.
문제4번 "유호연"사원의 주민등록번호 중 8번째 자리가 1 또는 3이면 남자,2또는4이면 여자를 입력할 것
4번답 G9:=IF(OR(MID(B9,8,1)="1",MID(B9,8,1)="3"),"남자","여자")->여자
문제는 주민등록번호 중 8번쨰 자리가 1 또는 3이면 남자, 2또는 4이면 여자를 입력하라고 했는데,2또는 4가 쓰이지도 않고 위의식처럼 쓰인 이유가 뭔가요??특히 식에서 ->표는 왜쓰인거죠?이해가 안갑니다.
-> IF(조건, 인수1, 인수2) 함수는 조건을 비교하여 ‘참’이면 인수1,‘ 거짓’이면 인수2를 실행합니다
=IF(OR(MID(B9,8,1)="1",MID(B9,8,1)="3"),"남자","여자")
조건 참 거짓
조건이 참이면 "남자", 조건이 거짓이면 "여자"를 넣습니다. 주민등록번호의 8번째 자리의 숫자는 1, 2, 3, 4 이 외의 값은 없습니다. 그러므로 1과 3인지를 비교하여 참일 경우는 남자를 넣고, 그외 즉 1, 2, 3, 4 에서 1, 3을 제외한 2, 4인 경우는 여자가 들어가게 되는 것입니다.
문제5번 '차한도'사원의 실적, 영어 회화, 컴퓨터 점수가 모두 60점 이상이면 '통과'아니면 '과목미달'을 표시(단,IF함수만 사용)
5번답 G11:=If(D11>=60,IF(E11>=60,if(F11>=60,"통과","과목미달"),"과목미달"),"과목미달")->과목미달
로 쓰였는데 문제는 차한도 사원의 실적, 영어회화, 컴퓨터 점수가 모두 60점 이상이면 통과, 아니면 과목미달을 표시라고 햇는데 과목미달이 왜이렇게 많이 쓰인건가요?그리고 위의 답처럼 식이 쓰인 이유가 뭔가요??정말 모르겠어요
-> :=If(D11>=60,IF(E11>=60,if(F11>=60,"통과","과목미달"),"과목미달"),"과목미달")->
빨강색 과목미달은 빨강색 if 문이 거짓일때 들어값 값이고, 하늘색 미달은 하늘색 if 문이 거짓일때, 분홍색 과목미달은 분홍색 if 문이 거짓일때 들어갈 값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