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 B | C | D | E | F | |
1 |
번호 | 이름 | 키(cm) | 몸무게(Kg) | ||
2 | 12001 | 홍길동 | 165 | 67 | 키(cm) | |
3 | 12002 | 이대한 | 171 | 69 | >=170 | |
4 | 12003 | 한민국 | 177 | 78 | ||
5 | 12004 | 이우리 | 162 | 80 | ||
6 | ||||||
7 |
키가 170cm 이상인 사람수 |
2 |
질문: 위 시트에서 키(cm)가 170 이상인 사람의 수를 구하려고 한다.
다음 중 [E7] 셀에 입력할 수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1번 DCOUNT(A1:D5,2,F2:F3)
저는 2번 DCOUNTA(A1:D5,2,F2:F3)가 왜 정답인지 모르겠어요ㅠㅠ
빈셀빼고 다 세는 건데 조건에 맞는 셀이 없기때문에 0이 나와야 되는거 아닌가요?
설명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dcount는 조건에 만족하는 수치 데이터의 개수를 세는 함수이고, dcounta는 수치, 문자 구분없이 조건에 만족하는 셀의 개수를 구하는 함수입니다. DCOUNT(A1:D5,2,F2:F3)와 DCOUNTA(A1:D5,2,F2:F3)에서 두 수식 모두 개수를 세는 열을 2로 지정했는데, 2열에는 이름, 즉 문자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으므로 조건에 만족하는 수치 데이터의 개수를 세는 DCOUNT(A1:D5,2,F2:F3)의 결과값은 0이고, DCOUNTA(A1:D5,2,F2:F3)는 2가 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10-10 09:27:09
안녕하세요.
dcount는 조건에 만족하는 수치 데이터의 개수를 세는 함수이고, dcounta는 수치, 문자 구분없이 조건에 만족하는 셀의 개수를 구하는 함수입니다. DCOUNT(A1:D5,2,F2:F3)와 DCOUNTA(A1:D5,2,F2:F3)에서 두 수식 모두 개수를 세는 열을 2로 지정했는데, 2열에는 이름, 즉 문자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으므로 조건에 만족하는 수치 데이터의 개수를 세는 DCOUNT(A1:D5,2,F2:F3)의 결과값은 0이고, DCOUNTA(A1:D5,2,F2:F3)는 2가 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