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궁금한것 몇가지 질문할게요~
RANK 함수의 사용 형식이 RANK(인수, 범위, 논리값)인데, 논리값이 0과 1이 있잖아요?
1. 0이 정확한 값을 구할 때 쓰는 것이고, 1이 근사값을 구할 때 쓰는 건줄 알았는데 아닌가요?
맞다면, 내림차순과 오름차순과의 관계가 뭐죠??
2. 0이 내림차순으로, 1이 오름차순으로 구하는 거죠?
3. 오름차순은 숫자>문자>논리값>오류값>빈 셀 순인데,
숫자가 작은 수부터 큰 수로 가잖아요? 그래서 순위를 구하는 함수니깐 예를들어 1등에서 5등이 있을 때,
숫자가 작은 수부터 큰 수로 가서 오름차순이라고 생각되서 헷갈리네요ㅠㅠ
안녕하세요.
RANK 함수의 사용 형식이 RANK(인수, 범위, 논리값)인데, 논리값이 0과 1이 있잖아요?
1. 0이 정확한 값을 구할 때 쓰는 것이고, 1이 근사값을 구할 때 쓰는 건줄 알았는데 아닌가요?
맞다면, 내림차순과 오름차순과의 관계가 뭐죠??
-> 아닙니다. RANK 함수에서는 0이거나 생략하면 내림차순, 1이면 오름차순을 의미합니다.
2. 0이 내림차순으로, 1이 오름차순으로 구하는 거죠?
-> 네 맞습니다. 순위를 구할 때 값이 높은 사람이 1등으로 하여 차례로 순위를 구할 때는 0, 반대로 값이 작은 사람이 1등으로 하여 차례로 순위를 구할때는 1을 지정해야 합니다.
3. 오름차순은 숫자>문자>논리값>오류값>빈 셀 순인데,
숫자가 작은 수부터 큰 수로 가잖아요? 그래서 순위를 구하는 함수니깐 예를들어 1등에서 5등이 있을 때,
숫자가 작은 수부터 큰 수로 가서 오름차순이라고 생각되서 헷갈리네요ㅠㅠ
-> 오름차순으로 순위를 구한다면 가장 작은수부터 근수로 하여 차례로 순위를 구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02-11 09:47:14
안녕하세요.
RANK 함수의 사용 형식이 RANK(인수, 범위, 논리값)인데, 논리값이 0과 1이 있잖아요?
1. 0이 정확한 값을 구할 때 쓰는 것이고, 1이 근사값을 구할 때 쓰는 건줄 알았는데 아닌가요?
맞다면, 내림차순과 오름차순과의 관계가 뭐죠??
-> 아닙니다. RANK 함수에서는 0이거나 생략하면 내림차순, 1이면 오름차순을 의미합니다.
2. 0이 내림차순으로, 1이 오름차순으로 구하는 거죠?
-> 네 맞습니다. 순위를 구할 때 값이 높은 사람이 1등으로 하여 차례로 순위를 구할 때는 0, 반대로 값이 작은 사람이 1등으로 하여 차례로 순위를 구할때는 1을 지정해야 합니다.
3. 오름차순은 숫자>문자>논리값>오류값>빈 셀 순인데,
숫자가 작은 수부터 큰 수로 가잖아요? 그래서 순위를 구하는 함수니깐 예를들어 1등에서 5등이 있을 때,
숫자가 작은 수부터 큰 수로 가서 오름차순이라고 생각되서 헷갈리네요ㅠㅠ
-> 오름차순으로 순위를 구한다면 가장 작은수부터 근수로 하여 차례로 순위를 구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