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31번 문제가 이해가 안되서 질문을 올렸습니다~
그 전에 몇가지 질문 할게요~
1. DCOUNTA는 DCOUNT와 다른 점이 수치데이터 뿐 아니라 텍스트가 입력되어있어도 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를 계산할 수 있는 건가요?
2. 전문가의 조언에 DCOUNTA는 지정된 열에서 비어 있지 않은 셀의 개수를 계산한다고 되어있는데,
DCOUNT도 비어 있지 않은 셀의 개수를 계산하는 것인가요?
31번 질문에서 궁금한 것은 질문에서는 몸무게가 70kg 이상인 사람의 수를 구하는 것인데
보기 1,2번은 2열에 이름에 대한 내용이고,
보기 3,4번은 3열에 키에 대한 내용입니다..
특정한 열을 지정했는데(2열, 3열) 그 열만 보는 것이 아닙니까? 그 전체 행을 다 보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1. 조건에 만족하는 데이터의 개수를 셀때, DCOUNT는 수치 데이터의 개수만 세고, DCOUNTA는 데이터 종류에 상관 없이 조건에 만족하는 데이터의 개수를 셉니다.
2. 데이터 종류에 상관 없이 데이터의 개수를 센다는 말고, 비어있지 않은 셀의 개수를 센다는 말은 같은 의미로 보시면 됩니다. DCOUNT는 수치 데이터가 입력된 셀의 개수만을 셉니다.
질문 내용의 의도를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이 문제의 경우는 조건에 만족하는 데이터의 개수를 세는 문제인데, DCOUNT와 DCOUNTA를 사용할 경우 조건에 만족하는 데이터의 개수를 셀 열을 뭘로 지정할지를 묻는 것입니다. DCOUNT 함수는 수치 데이터의 개수만을 센다고 했습니다. 그러니 열 번호를 지정할 때 숫자가 입력된 3열(키)이나 4열(몸무게)을 지정해야 올바른 결과가 나오고 DCOUNTA 함수의 경우는 데이터 종류에 상관 없이 비어있지 않은 셀의 개수를 센다고 하였으니 1~4 열중 어떤 것을 지정하든 상관 없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01-20 10:03:43
안녕하세요.
1. 조건에 만족하는 데이터의 개수를 셀때, DCOUNT는 수치 데이터의 개수만 세고, DCOUNTA는 데이터 종류에 상관 없이 조건에 만족하는 데이터의 개수를 셉니다.
2. 데이터 종류에 상관 없이 데이터의 개수를 센다는 말고, 비어있지 않은 셀의 개수를 센다는 말은 같은 의미로 보시면 됩니다. DCOUNT는 수치 데이터가 입력된 셀의 개수만을 셉니다.
질문 내용의 의도를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이 문제의 경우는 조건에 만족하는 데이터의 개수를 세는 문제인데, DCOUNT와 DCOUNTA를 사용할 경우 조건에 만족하는 데이터의 개수를 셀 열을 뭘로 지정할지를 묻는 것입니다. DCOUNT 함수는 수치 데이터의 개수만을 센다고 했습니다. 그러니 열 번호를 지정할 때 숫자가 입력된 3열(키)이나 4열(몸무게)을 지정해야 올바른 결과가 나오고 DCOUNTA 함수의 경우는 데이터 종류에 상관 없이 비어있지 않은 셀의 개수를 센다고 하였으니 1~4 열중 어떤 것을 지정하든 상관 없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