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중에 mod(13,-3)=-2라고 되어있던데
왜 이렇게 나오는지 이해가 안가서요
나머지는 1이 나와야 하는거 아닌가요?
-2인 이유와 그에 대한 풀이 좀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MOD함수는 =MOD(인수1,인수2)라고 쓰고 인수1을 인수2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는 함수입니다.
=MOD(13,-3)의 의미를 해석해보면 13을 -3으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둘 다 양수인 경우는 간단하지만 어느 한쪽이 음수인 경우는 좀 더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13/(-3)을 살펴보면,
13/(-3)은 15/(-3)+ (-2)/(-3) 으로 나누어 쓸 수가 있습니다.
(분배법칙이 성립하기 때문입니다. (A+C)B=AB+CB가 분배 법칙이죠?)
즉 여기에서 15/(-3)=(-5)가 몫이고 (-2)가 나머지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13/(-3)은 항상 15/(-3)+(-2)/(-3)으로 쓸 수 있는 것은 아니지요.
13/(-3)은 12/(-3)+1/(-3), 9/(-3)+4/(-3) 또는
18/(-3)+(-5)/(-3), 21/(-3)+(-8)/(-3) 등으로도 쓸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15/(-3)+(-2)/(-3)이 답일까요?
왜냐하면 MOD함수는 인수2의 부호를 따라가기 때문에
인수2의 부호가 음수이면 답도 음수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18(-3)+(-5)/((-3)도 결국은 18(-3)+(-2)/(-3)+(-3)/(-3)=15/(-3)+(-2)/(-3)이기 때문에
어떤 수를 쓰던 15/(-3)+(-2)/(-3)가 나올 수 밖에 없습니다.
즉 15/(-3)+(-2)/(-3)가 최솟값이며 답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MOD(13,-3)=(-2)가 맞습니다.
이상 답변이었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2015-01-28 17:48:45
MOD함수는 =MOD(인수1,인수2)라고 쓰고 인수1을 인수2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는 함수입니다.
=MOD(13,-3)의 의미를 해석해보면 13을 -3으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둘 다 양수인 경우는 간단하지만 어느 한쪽이 음수인 경우는 좀 더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13/(-3)을 살펴보면,
13/(-3)은 15/(-3)+ (-2)/(-3) 으로 나누어 쓸 수가 있습니다.
(분배법칙이 성립하기 때문입니다. (A+C)B=AB+CB가 분배 법칙이죠?)
즉 여기에서 15/(-3)=(-5)가 몫이고 (-2)가 나머지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13/(-3)은 항상 15/(-3)+(-2)/(-3)으로 쓸 수 있는 것은 아니지요.
13/(-3)은 12/(-3)+1/(-3), 9/(-3)+4/(-3) 또는
18/(-3)+(-5)/(-3), 21/(-3)+(-8)/(-3) 등으로도 쓸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15/(-3)+(-2)/(-3)이 답일까요?
왜냐하면 MOD함수는 인수2의 부호를 따라가기 때문에
인수2의 부호가 음수이면 답도 음수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18(-3)+(-5)/((-3)도 결국은 18(-3)+(-2)/(-3)+(-3)/(-3)=15/(-3)+(-2)/(-3)이기 때문에
어떤 수를 쓰던 15/(-3)+(-2)/(-3)가 나올 수 밖에 없습니다.
즉 15/(-3)+(-2)/(-3)가 최솟값이며 답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MOD(13,-3)=(-2)가 맞습니다.
이상 답변이었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