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3쪽에 맨 위에 표에서 4번째 보시면 WEEKDAY의 결과값이 2라고 나오는데.. 옵션을 1또는생략인거니까 즉 월요일이 나오죠?
+추가질문)그리고 WEEKDAY는 엑셀프로그램으로만 그 결과값을 알수있는건가요?
네, 373쪽 WEEKDAY 함수를 적용할때의 옵션은 1(또는 생략)로 하였습니다.
WEEKDAY 함수에서 옵션을 1(또는 생략)로 하게 되면,
결과로 1~7까지의 숫자로 나오게 되는데, 1은 일요일, 2는 월요일...7은 토요일을 의미합니다.
즉, 2가 나왔으므로 옵션으로 1(또는 생략)을 적용한 것이 맞습니다.^^
실제로 1996년 3월 4일은 월요일이 맞습니다.
만약 옵션을 2로 설정했으면 결과는 1로 나왔을것이고,
옵션을 3으로 설정했다면 결과는 0으로 나왔을 것입니다.
그리고 WEEKDAY 함수를 포함하여 날짜/시간 함수는 엑셀프로그램뿐만 아니라
MSSQL, ORACLE 등에서도 제공하기도 합니다.
이상 답변 마치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2015-01-22 13:02:13
네, 373쪽 WEEKDAY 함수를 적용할때의 옵션은 1(또는 생략)로 하였습니다.
WEEKDAY 함수에서 옵션을 1(또는 생략)로 하게 되면,
결과로 1~7까지의 숫자로 나오게 되는데, 1은 일요일, 2는 월요일...7은 토요일을 의미합니다.
즉, 2가 나왔으므로 옵션으로 1(또는 생략)을 적용한 것이 맞습니다.^^
실제로 1996년 3월 4일은 월요일이 맞습니다.
만약 옵션을 2로 설정했으면 결과는 1로 나왔을것이고,
옵션을 3으로 설정했다면 결과는 0으로 나왔을 것입니다.
그리고 WEEKDAY 함수를 포함하여 날짜/시간 함수는 엑셀프로그램뿐만 아니라
MSSQL, ORACLE 등에서도 제공하기도 합니다.
이상 답변 마치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