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페이지에 문제4번에 5번글을 보면
Left([거래처명],InStr([거래처명],"")-1)
이렇게 되어있는데
InStr([거래처명],"")-1 이 함수에 대한 설명에서
"거래쳐명"에서 공백("")의 위치를 반환합니다("군포 전기" →3) 여기서 1을 뺍니다(2).
이것이 무슨뜻인지 전혀모르겠습니다..
InStr([거래처명],"")=0 이것은 0이라는 숫자 자체가 거래처명에 공백을 입력하지못한다는 뜻인걸로아는데
-1은 무엇인지.. 여튼 답변부탁드립니다..
instr 사용법이 여럿 있는데 엑세스에서
InStr 함수는 한 문자열 안에 특정 문자열이 처음으로 나타난 위치를 지정하는 것으로 유효성검사 규칙에
InStr([필드명]," ")=0
와 같이 작성하면 공백의 위치를 찾은 값이 0 이라는 것으로 공백이 없다는 의미입니다.
공백의 위치를 찾거나 특정한 값이 나타난 위치를 지정 할때 많이 사용합니다.
군포 전기
에서 공백이 나온 위치를 반환하는 instr 함수를 사용했기 때문에
instr([거래처명],"")에서 3이 나오는 것입니다.
군포 전기 에서 공백의 위치가 3번째 이니깐 3이 나오구요.
의정부 전기 에서는 공백의 위치가 4번째 이니깐 4가 나옵니다.
여기서 -1을 하게 되니 3-1 은 2가 되고
left([거래처명],2) 가 되어 군포 만 표시 하게 되죠.
의정부는
4-1 이 되어 3이 되고
left([거래처명],3) 이 되니 의정부 만 표시 되게 되죠.
좋은 하루 되세요.
"-
*2011-09-15 13:36:05
instr 사용법이 여럿 있는데 엑세스에서
InStr 함수는 한 문자열 안에 특정 문자열이 처음으로 나타난 위치를 지정하는 것으로 유효성검사 규칙에
InStr([필드명]," ")=0
와 같이 작성하면 공백의 위치를 찾은 값이 0 이라는 것으로 공백이 없다는 의미입니다.
공백의 위치를 찾거나 특정한 값이 나타난 위치를 지정 할때 많이 사용합니다.
군포 전기
에서 공백이 나온 위치를 반환하는 instr 함수를 사용했기 때문에
instr([거래처명],"")에서 3이 나오는 것입니다.
군포 전기 에서 공백의 위치가 3번째 이니깐 3이 나오구요.
의정부 전기 에서는 공백의 위치가 4번째 이니깐 4가 나옵니다.
여기서 -1을 하게 되니 3-1 은 2가 되고
left([거래처명],2) 가 되어 군포 만 표시 하게 되죠.
의정부는
4-1 이 되어 3이 되고
left([거래처명],3) 이 되니 의정부 만 표시 되게 되죠.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