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액세스 기출문제 풀어보다가 잘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어서요
먼저 2010년 1회 E형 문제 2번-3이요
본문의 txt건수 컨트롤에는 거래처명별 판매된 건수가 나타나도록 설정하시오
-txt거래처명에 지정된 거래처별로 판매건수가 표시될 것
-Dcount 함수와 판매쿼리를 사용할것
dcount(필드이름,테이블/쿼리이름,조건) 이 식으로 쓰는거잖아요
그런데 답보니까 =dcount("판매일자","판매쿼리","거래처명=txt거래처명") 이거든데
왜 필드이름이 "판매일자"에요?
그리고 입력마스크도 잘이해가 안가요
시나공책에 정리해놓은거 봐도 모르겠어요
2010년 2회 E형 문제 1번-5에 "T-0001"형태 만드는거 왜 "L-0000;0;_" 이거에요?
;은뭐고 _는 뭐에요?
알려주세요~~
dcount 함수는 레코드의 개수를 세는 함수이므로
판매쿼리의 어느 필드명을 사용하든 같은결과가 나옵니다.
그렇기 때문에 판매일자를 하시든 다른 필드명을 쓰든 같은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판매쿼리의 필드중 다른 필드를 사용하셔서 확인해 보세요.
- 기호는 저장되고 입력시 _-____ 과 같은 형태로 표시되게 하라고 햇기 때문에 그런것입니다.
입력마스크 작성하는 방법은
입력마스크;저장;표시
라고보시면 됩니다.
즉 L-0000;0;_
에서 L-0000 은 입력마스크의 모양이 되는 것이고
두번째 영역의 0은 - 도 저장하게 하는 것입니다.
세번째 영역의 _ 는 _-____ 과 같이 _____ 이 표시되게 하는 곳이죠.
그래서 이런 결과가 나오는 것입니다.
000-000-0000;0;0 으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입력 마스크 지정 시 각 자릿수가 의미하는 내용을 알아두세요. 각 구역은 세미콜론으로 구분합니다.
첫번째 위치에는 사용자 지정 기호를,
두번째 위치에는 -, /, = 와 같은 서식 문자를 저장할지 여부를 지정하는 것으로 0으로 지정하면 이 기호도 저장되고 1로 지정하면 입력된 값만 저장됩니다.
세번째 위치에입력되는 것은 자릿수에 표시될 기호입니다. 위와 같이 지정하면 입력할 자리에 000-000-0000이 표시됩니다. _ 으로 표시 하면 ___-___-____ 이 되겠죠.
000-0000 으로 작성하게 되면 입력시 123-4567 과 같이 표시 되지만 저장될때는 - 을 제외한 1234567 이 저장이 됩니다. 만약 123-4567 로 저장하려면
000-0000;0 을 사용해야지만 -(문자) 도 같이 저장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야 123-4567 로 저장이 됩니다.
즉 -도 저장되게 하시오. 라면 000-0000;0 으로 입력 하셔야 합니다.
문제에서 -도 저장되게 하시오. 라면 문자 -도 저장 되어야 하므로 ;0 이 들어가게 되구요.
입력할때 ___-___-___ 과 같이 나타나게 하려면 3번째 자리에 ;_ 도 입력하시면 되는 것입니다.
만약 ***-***-*** 와 같이 나타낼려면 3번째 자리에 ;* 를 입력 하시면 되죠.
좋은 하루 되세요.
-
*2011-08-25 13:38:44
dcount 함수는 레코드의 개수를 세는 함수이므로
판매쿼리의 어느 필드명을 사용하든 같은결과가 나옵니다.
그렇기 때문에 판매일자를 하시든 다른 필드명을 쓰든 같은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판매쿼리의 필드중 다른 필드를 사용하셔서 확인해 보세요.
- 기호는 저장되고 입력시 _-____ 과 같은 형태로 표시되게 하라고 햇기 때문에 그런것입니다.
입력마스크 작성하는 방법은
입력마스크;저장;표시
라고보시면 됩니다.
즉 L-0000;0;_
에서 L-0000 은 입력마스크의 모양이 되는 것이고
두번째 영역의 0은 - 도 저장하게 하는 것입니다.
세번째 영역의 _ 는 _-____ 과 같이 _____ 이 표시되게 하는 곳이죠.
그래서 이런 결과가 나오는 것입니다.
000-000-0000;0;0 으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입력 마스크 지정 시 각 자릿수가 의미하는 내용을 알아두세요. 각 구역은 세미콜론으로 구분합니다.
첫번째 위치에는 사용자 지정 기호를,
두번째 위치에는 -, /, = 와 같은 서식 문자를 저장할지 여부를 지정하는 것으로 0으로 지정하면 이 기호도 저장되고 1로 지정하면 입력된 값만 저장됩니다.
세번째 위치에입력되는 것은 자릿수에 표시될 기호입니다. 위와 같이 지정하면 입력할 자리에 000-000-0000이 표시됩니다. _ 으로 표시 하면 ___-___-____ 이 되겠죠.
000-0000 으로 작성하게 되면 입력시 123-4567 과 같이 표시 되지만 저장될때는 - 을 제외한 1234567 이 저장이 됩니다. 만약 123-4567 로 저장하려면
000-0000;0 을 사용해야지만 -(문자) 도 같이 저장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야 123-4567 로 저장이 됩니다.
즉 -도 저장되게 하시오. 라면 000-0000;0 으로 입력 하셔야 합니다.문제에서 -도 저장되게 하시오. 라면 문자 -도 저장 되어야 하므로 ;0 이 들어가게 되구요.
입력할때 ___-___-___ 과 같이 나타나게 하려면 3번째 자리에 ;_ 도 입력하시면 되는 것입니다.
만약 ***-***-*** 와 같이 나타낼려면 3번째 자리에 ;* 를 입력 하시면 되죠.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