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실제 시험장을 옮겨놓았다..
도서
[2011] 컴퓨터활용능력 1급 실기(엑셀, 액세스 2007 사용자용)
페이지
286
조회수
137
작성일
2011-08-22
작성자
첨부파일

이 코너에서

문제4번의 2번의 3번에서

<입력>버튼을 클릭하면 폼에 입력된 데이터를 시트의 표안에 추가되도록 프로시저를 작성하시오

이거 설명부분 잘못된거같거든요?

286페이지

10번을 보시면

cells(입력행,4)=

여기서부터 노란색 표시가되면서 list구문이 잘못됐다고 떠요 실행을하면

도대체 뭐가 잘못됐는지 몰라서 E형정답을 열어서 실행시켜보았더니 똑같이 list구문을 실행할수없다고 떠요

어떻게 된거죠?

그냥 섹션에서 풀었던거랑은 다르던데 섹션이외에는 설명이 너무 부족하네요

답변
2011-08-22 16:02:54

list 박스에 값중 하나를 선택 한 후 입력 하셨나요?

list 박스에 있는 값중 하나를 선택 한 후 입력해 보세요.

list박스에 있는 값을 선택 하여 그 값들에 해당하는 것을 셀에 입력하는 것입니다.

섹션부분에서 이미 설명했던 부분이예요.

잘 모르시겠다면 섹션 18의 문제 4번을 다시 한번 보시구요.

헷갈리시는것 같아 설명을 더 추가합니다. 참고해 주세요.

listindex와 list,listindex의 차이점을 설명 드릴께요. 이렇게 이해하시는 것이 빠르실거예요. ^^ㅎ

첫번째 코드는 목록상자나 콤보상자에서 특정 행을 추출할 때 사용하고, 두번째 코드는 워크시트의 셀안의 내용을 가져올때 사용 하게 됩니다.

참조행 = lst과목.ListIndex
입력행 = [a2].Row + [a2].CurrentRegion.Rows.Count
Cells(입력행, 1) = txtID
Cells(입력행, 2) = txt이름
Cells(입력행, 3) = lst과목.List(참조행, 0)
Cells(입력행, 4) = lst과목.List(참조행, 1)
Cells(입력행, 5) = lst과목.List(참조행, 2)
Cells(입력행, 6) = lst과목.List(참조행, 3) - (lst과목.List(참조행, 3) * txt할인율)

여기에서 참조행에 lst과목.listindex 라고 정의해 두고
lst과목.list(참조행,0) 으로 사용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참조행이 어디인지 지정해 놓고 lst과목에서 참조행의 위치와 0인.. 그러니깐 참조행이 만약 2이고 찾고자하는 것이 0행에 있다는 그런 뜻이 됩니다.

참조행 = lst열차종류.listindex + 4
입력행 = [a3].row + [a3].currentregion.rows.count

cells(입력행, 1) = txt번호
cells(입력행, 2) = cells(참조행, 8)
cells(입력행, 3) = cells(참조행, 9)
cells(입력행, 4) = txt매수
cells(입력행, 5) = txt매수 * cells(참조행, 10)

이 문장에서는 lst열차종류에서 참조되는 행의 위치를 이미 지정하였습니다. 그리고 사용 할때는 8,9와 같이 엑셀에서 위치하는 열을 미리 적어 둔 것입니다.

한마디로 말하면.. 첫번째 코드는 폼안의 list박스내의 자료를 찾아서 셀에 입력 하는 것이구요.




두번째 코드는 워크시트에서 참조표가 있는 곳의 위치를 지정하여 입력할 데이터를 확인 하는 것입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 *
    2011-08-22 16:02:54

    list 박스에 값중 하나를 선택 한 후 입력 하셨나요?

    list 박스에 있는 값중 하나를 선택 한 후 입력해 보세요.

    list박스에 있는 값을 선택 하여 그 값들에 해당하는 것을 셀에 입력하는 것입니다.

    섹션부분에서 이미 설명했던 부분이예요.

    잘 모르시겠다면 섹션 18의 문제 4번을 다시 한번 보시구요.

    헷갈리시는것 같아 설명을 더 추가합니다. 참고해 주세요.

    listindex와 list,listindex의 차이점을 설명 드릴께요. 이렇게 이해하시는 것이 빠르실거예요. ^^ㅎ

    첫번째 코드는 목록상자나 콤보상자에서 특정 행을 추출할 때 사용하고, 두번째 코드는 워크시트의 셀안의 내용을 가져올때 사용 하게 됩니다.

    참조행 = lst과목.ListIndex
    입력행 = [a2].Row + [a2].CurrentRegion.Rows.Count
    Cells(입력행, 1) = txtID
    Cells(입력행, 2) = txt이름
    Cells(입력행, 3) = lst과목.List(참조행, 0)
    Cells(입력행, 4) = lst과목.List(참조행, 1)
    Cells(입력행, 5) = lst과목.List(참조행, 2)
    Cells(입력행, 6) = lst과목.List(참조행, 3) - (lst과목.List(참조행, 3) * txt할인율)

    여기에서 참조행에 lst과목.listindex 라고 정의해 두고
    lst과목.list(참조행,0) 으로 사용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참조행이 어디인지 지정해 놓고 lst과목에서 참조행의 위치와 0인.. 그러니깐 참조행이 만약 2이고 찾고자하는 것이 0행에 있다는 그런 뜻이 됩니다.

    참조행 = lst열차종류.listindex + 4
    입력행 = [a3].row + [a3].currentregion.rows.count

    cells(입력행, 1) = txt번호
    cells(입력행, 2) = cells(참조행, 8)
    cells(입력행, 3) = cells(참조행, 9)
    cells(입력행, 4) = txt매수
    cells(입력행, 5) = txt매수 * cells(참조행, 10)

    이 문장에서는 lst열차종류에서 참조되는 행의 위치를 이미 지정하였습니다. 그리고 사용 할때는 8,9와 같이 엑셀에서 위치하는 열을 미리 적어 둔 것입니다.

    한마디로 말하면.. 첫번째 코드는 폼안의 list박스내의 자료를 찾아서 셀에 입력 하는 것이구요.




    두번째 코드는 워크시트에서 참조표가 있는 곳의 위치를 지정하여 입력할 데이터를 확인 하는 것입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