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질문 첨부해서 올립니다.
항상 명쾌한 답변 주셔서
감사드려요*^^
index(범위, 행, 열)
입니다. 범위에서 행과 열에 해당하는 값을 찾는 것이죠.
행에서 match(left(c3,1),k4:k7,1) 이 되는데
이것은 표2에서 A,B,C,D 에 해당하는 범위에서 D 라는 값을 찾아 상대위치를 반영 하게 됩니다.
그럼 D 는 4 이니깐 index(범위,4,열) 이 되겠죠.
열부분 match를 보시면
match(mid(c3,2,2),l3:o3,1) 로
즉 01,02,03,04 부분에서 상대위치를 구하기때문에 03에 해당하는 3을 열로 반영합니다.
그럼 index(범위,4,3) 이 되는 것이죠.
범위를 k3:o7 로 잡으시면 4, 3의 값은 24색 물감이 됩니다. 하지만 우리가 그냥 손으로 집어보았을땐 가위가 나와야되죠..
그러므로 범위를 L4:o7 로 잡아야 한다는 결과가 나옵니다.
이해가 안되시면 식을 풀어서 구해보시고 범위를 어떻게 잡아야 하는지 생각해 보세요.
좋은 하루 되세요.
"-
*2011-08-22 10:43:48
index(범위, 행, 열)
입니다. 범위에서 행과 열에 해당하는 값을 찾는 것이죠.
행에서 match(left(c3,1),k4:k7,1) 이 되는데
이것은 표2에서 A,B,C,D 에 해당하는 범위에서 D 라는 값을 찾아 상대위치를 반영 하게 됩니다.
그럼 D 는 4 이니깐 index(범위,4,열) 이 되겠죠.
열부분 match를 보시면
match(mid(c3,2,2),l3:o3,1) 로
즉 01,02,03,04 부분에서 상대위치를 구하기때문에 03에 해당하는 3을 열로 반영합니다.
그럼 index(범위,4,3) 이 되는 것이죠.
범위를 k3:o7 로 잡으시면 4, 3의 값은 24색 물감이 됩니다. 하지만 우리가 그냥 손으로 집어보았을땐 가위가 나와야되죠..
그러므로 범위를 L4:o7 로 잡아야 한다는 결과가 나옵니다.
이해가 안되시면 식을 풀어서 구해보시고 범위를 어떻게 잡아야 하는지 생각해 보세요.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