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2p에 문제3번해설중에요
6.번째 해설에
참조행=cmb종류.listindex+7 이렇게 쓰여있는데요
[참조표]에서 실제데이터가 입력되어있는 행이 워크시트의 7행이라서 뒤에 7을더했다구
설명되어져있는데
233p에 문제4번해설 6.번째에는
참조행=lst과목.listindex 뒤에 실제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는 행을 안더해도되는건가요?
같아보이는데 식이달라서 이해가안가네요 ㅠㅠ 자세한설명부탁드려요
그리고 질문한가지 더 있습니당
제가 주말에 상설시험을 봤었는데 조건부 서식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은 두개였는데 , 하나는 "수식이"으로 작성할 수 있는 식(E4>=5000..정확이기억이안나서 뭐이런 조건)이랑
"셀값이"로 지정(30000~49999값사이)해야하는 조건이였어요
근데 단 조건은 조건1(1)에만 수식으로 작성하란말도 있었는데
교재에서 문제풀때는 위에 조건이있으면 한줄에 다 조건을 쓰면되는데
이런 경우는 어떻게 조건부서식을 설정했어야했나요?ㅠㅠ
and였는지 or였는지 생각이안나는데 두가지경우를 다써주시면감사해요 ㅠㅠ
너무 두서가없어서 이해가안가시면 다시질문하겠습니다 :)
1. listindex와 list,listindex의 차이점을 설명 드릴께요. 이렇게 이해하시는 것이 빠르실거예요. ^^ㅎ
첫번째 코드는 목록상자나 콤보상자에서 특정 행을 추출할 때 사용하고, 두번째 코드는 워크시트의 셀안의 내용을 가져올때 사용 하게 됩니다.
참조행 = lst과목.ListIndex
입력행 = [a2].Row + [a2].CurrentRegion.Rows.Count
Cells(입력행, 1) = txtID
Cells(입력행, 2) = txt이름
Cells(입력행, 3) = lst과목.List(참조행, 0)
Cells(입력행, 4) = lst과목.List(참조행, 1)
Cells(입력행, 5) = lst과목.List(참조행, 2)
Cells(입력행, 6) = lst과목.List(참조행, 3) - (lst과목.List(참조행, 3) * txt할인율)
여기에서 참조행에 lst과목.listindex 라고 정의해 두고
lst과목.list(참조행,0) 으로 사용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참조행이 어디인지 지정해 놓고 lst과목에서 참조행의 위치와 0인.. 그러니깐 참조행이 만약 2이고 찾고자하는 것이 0행에 있다는 그런 뜻이 됩니다.
참조행 = lst열차종류.listindex + 4
입력행 = [a3].row + [a3].currentregion.rows.count
cells(입력행, 1) = txt번호
cells(입력행, 2) = cells(참조행, 8)
cells(입력행, 3) = cells(참조행, 9)
cells(입력행, 4) = txt매수
cells(입력행, 5) = txt매수 * cells(참조행, 10)
이 문장에서는 lst열차종류에서 참조되는 행의 위치를 이미 지정하였습니다. 그리고 사용 할때는 8,9와 같이 엑셀에서 위치하는 열을 미리 적어 둔 것입니다.
한마디로 말하면.. 첫번째 코드는 폼안의 list박스내의 자료를 찾아서 셀에 입력 하는 것이구요.
두번째 코드는 워크시트에서 참조표가 있는 곳의 위치를 지정하여 입력할 데이터를 확인 하는 것입니다.
2. 수식으로 작성하는데 셀값만 표시했어야 하는 문제가 아닌가요?
보통 전체 데이터를 범위로 잡은후 수식을 입력하여 작성하는 문제는 행전체를 조건부 서식으로 표시 하는 것인데
질문 주신 문제는 주어진 셀의 범위내에서 조건 수식에 맞는 것을 지정하면 되는 것이지 싶습니다.
즉 전체 데이터 범위가 아닌 지정된 열이나 지정된 범위만 선택 하시고 조건1로 작성 하셨으면 될 것 같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2011-08-21 12:13:28
1. listindex와 list,listindex의 차이점을 설명 드릴께요. 이렇게 이해하시는 것이 빠르실거예요. ^^ㅎ
첫번째 코드는 목록상자나 콤보상자에서 특정 행을 추출할 때 사용하고, 두번째 코드는 워크시트의 셀안의 내용을 가져올때 사용 하게 됩니다.
참조행 = lst과목.ListIndex
입력행 = [a2].Row + [a2].CurrentRegion.Rows.Count
Cells(입력행, 1) = txtID
Cells(입력행, 2) = txt이름
Cells(입력행, 3) = lst과목.List(참조행, 0)
Cells(입력행, 4) = lst과목.List(참조행, 1)
Cells(입력행, 5) = lst과목.List(참조행, 2)
Cells(입력행, 6) = lst과목.List(참조행, 3) - (lst과목.List(참조행, 3) * txt할인율)
여기에서 참조행에 lst과목.listindex 라고 정의해 두고
lst과목.list(참조행,0) 으로 사용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참조행이 어디인지 지정해 놓고 lst과목에서 참조행의 위치와 0인.. 그러니깐 참조행이 만약 2이고 찾고자하는 것이 0행에 있다는 그런 뜻이 됩니다.참조행 = lst열차종류.listindex + 4
입력행 = [a3].row + [a3].currentregion.rows.countcells(입력행, 1) = txt번호
cells(입력행, 2) = cells(참조행, 8)
cells(입력행, 3) = cells(참조행, 9)
cells(입력행, 4) = txt매수
cells(입력행, 5) = txt매수 * cells(참조행, 10)이 문장에서는 lst열차종류에서 참조되는 행의 위치를 이미 지정하였습니다. 그리고 사용 할때는 8,9와 같이 엑셀에서 위치하는 열을 미리 적어 둔 것입니다.
한마디로 말하면.. 첫번째 코드는 폼안의 list박스내의 자료를 찾아서 셀에 입력 하는 것이구요.
두번째 코드는 워크시트에서 참조표가 있는 곳의 위치를 지정하여 입력할 데이터를 확인 하는 것입니다.
2. 수식으로 작성하는데 셀값만 표시했어야 하는 문제가 아닌가요?
보통 전체 데이터를 범위로 잡은후 수식을 입력하여 작성하는 문제는 행전체를 조건부 서식으로 표시 하는 것인데
질문 주신 문제는 주어진 셀의 범위내에서 조건 수식에 맞는 것을 지정하면 되는 것이지 싶습니다.
즉 전체 데이터 범위가 아닌 지정된 열이나 지정된 범위만 선택 하시고 조건1로 작성 하셨으면 될 것 같네요.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