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9) 문제 3-1-2
선 컨트롤은 페이지 머리글과 동일하다고해서 2개 만들고 설정을 페이지 머리글의 것을 가져다 손수 입력해줬는데요. 그냥 페이지 머리글의 선 컨트롤을 복사+붙여넣기해도 될까요?
(10) 또 제가 만든 그림 보시면
(9) 문제 3-1-2
선 컨트롤은 페이지 머리글과 동일하다고해서 2개 만들고 설정을 페이지 머리글의 것을 가져다 손수 입력해줬는데요. 그냥 페이지 머리글의 선 컨트롤을 복사+붙여넣기해도 될까요?
(10) 또 제가 만든 그림 보시면
액세스 기본 모의고사 질문입니다.
도서
[2011] 컴퓨터활용능력 1급 실기(엑셀, 액세스 2003 사용자용)
페이지
조회수
161
작성일
2011-08-10
작성자
첨부파일
으앙 질문이 많아 죄송합니다;; 액세스는 액셀보다 더 못해서 우와아앙 ㅜ
액세스 기본 모의고사 2회
(1) 문제 4-3 최고매출 쿼리 작성
조건이 "합계가 가장 많은 거래처의 거래처,상호,합계 표시" 라고 하였는데요.
합계가 많은 "거래처"라고 했으니 거래처의 조건에 Select 구문을 넣어야하는거 아닌가요?
왜 합계에 들어가는지..
본문 151p
(2) 151p 에 삽입 SQL문이 나왔는데 전번에 풀었던 문제는 insert into 테이블(필드명) values(개체명) 이었는데 여기 소개된 것은 values가 아닌 select로 시작이 되네요? 어떤 경우에 각각 사용되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3) 151p DELETE SQL문 보면 조건이 "제품명이 1,2,3,4 " 제품명이 여러개라는 것을 "필드 in (필드명1,필드명2,필드명3)" 해주셨는데요.
그렇다면 위와 같은 and 조건이 아닌 or조건이라면 어떻게 되나요? 뭐 예를 들면 제품명이 한화이거나 삼성이거나 라면 말예요.. 필드 in(한화 or 삼성) 이렇게 되는건가요?
그렇다면 위와 같은 and 조건이 아닌 or조건이라면 어떻게 되나요? 뭐 예를 들면 제품명이 한화이거나 삼성이거나 라면 말예요.. 필드 in(한화 or 삼성) 이렇게 되는건가요?
(3) 비쥬얼 베이직에서 폰트 관련된걸 정리하고 있는데요.
사이즈 = target.font.size = 11
색깔 = target.font.color = vbred
폰트변경=target.font.name="굴림체" 이렇게 했는데.. 맞는지 모르겠네요.
색깔 = target.font.color = vbred
폰트변경=target.font.name="굴림체" 이렇게 했는데.. 맞는지 모르겠네요.
그럼 폰트 스타일을 바꿔주려면 target.font.style = "기울임" 하면되나요? 굵게도 마찬가지로
target.font.style = "굵게" 이렇게..?
액세스 기본모의고사 3회
(4) 문제 1-3 지역코드에 s-0001과 s-0010이 입력되게 문제인데요. 이 둘은 문자죠..
그럼 숫자가 입력되게 between 숫자 and 숫자 이렇게 따옴표를 제거하고 넣어주면 되나요?
(5) 문제 1-3-1
여기서 지역코드가 기본키가 안되있어! 라고 친절하게 설명해주는데요. 기억을 더듬어보면 이따금씩 무엇이 기본키인지 설명을 안해줄 때가 있던 것 같아요. 그럴땐 어떻게 찾아야하나요?
(6) 검토할시에 매번 보기,디자인모드 클릭하자니 번거로운데 혹시 보기,디자인모드의 단축키는 없을까요.
(7) 문제 1-2
입력마스크에 < 써놓고는 무심코 작업하다가 액세스 메모리 오류가 떠서 차근차근 뒤져보니 이걸 형식에다 입력해야하더군요.
본문 설명보니 입력마스크는 빠른입력을 위한 것, 형식은 화면에 표시되는 모양이라고 하셨는데요.
그럼 이 문제에 "소문자로 표시되도록" 이 것을 보고 아 표시니까 형식이구나. 해서 형식에 입력하면 되는걸까요?
입력마스크에 < 써놓고는 무심코 작업하다가 액세스 메모리 오류가 떠서 차근차근 뒤져보니 이걸 형식에다 입력해야하더군요.
본문 설명보니 입력마스크는 빠른입력을 위한 것, 형식은 화면에 표시되는 모양이라고 하셨는데요.
그럼 이 문제에 "소문자로 표시되도록" 이 것을 보고 아 표시니까 형식이구나. 해서 형식에 입력하면 되는걸까요?
(8) 문제 2-3
조건에 "cmb상품코드"의 값에 해당하는 내역만 표시하라했습니다. cmb상품코드의 위치는 현재 작업중인
조건에 "cmb상품코드"의 값에 해당하는 내역만 표시하라했습니다. cmb상품코드의 위치는 현재 작업중인
매출현황관리 폼이고요. 저는 그래서 조건을 "상품코드='"& cmb상품코드 &"'"형식으로 만들었는데 답안을 보니
[상품코드]=[forms]![매출현황관리]![cmb상품코드] 로 쓰였더라구요? 저는 여태 이런 형식은 다른 폼의 데이터가 조건일때 작성하는건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였나봅니다;; 어떨때는 전자이고 어떨때는 후자인지 설명부탁드려요!
이게 오늘 질문의 최대궁금점!! +_+
(9) 문제 3-1-2
선 컨트롤은 페이지 머리글과 동일하다고해서 2개 만들고 설정을 페이지 머리글의 것을 가져다 손수 입력해줬는데요. 그냥 페이지 머리글의 선 컨트롤을 복사+붙여넣기해도 될까요?
(10) 또 제가 만든 그림 보시면
이게 삐뚤삐뚤 제각각 크기도 달라서 보기 안좋은데 크기들을 일정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서식의 가로간격 조절,세로간격 조절 만져봤는데 이건아니구;
(11) 그리고 순이익은 <매출액-제조경비> 인데요. 다른 곳은 전부 순이익을 지칭할때 [매출액]-[제조경비]로 해야만하는데 txt평가에 iif 함수에는 txt순이익이 되더라구요? 어떨때는 인식하고 못하고..원래 함수로 쓰일때는 인식할 수 있는 건가요?
(12) 문제 3-2
Me.Filter = "매출수량>='" & txt조회 & "'" 전 이렇게 작성했는데 답안을 보니 "매출수량>=" & txt조회 더라구요. 이런건 또 처음보는데 원래 >, < 와 같은 등호가 쓰일때는 따옴표 사용법이 바뀌는건가요?
Me.Filter = "매출수량>='" & txt조회 & "'" 전 이렇게 작성했는데 답안을 보니 "매출수량>=" & txt조회 더라구요. 이런건 또 처음보는데 원래 >, < 와 같은 등호가 쓰일때는 따옴표 사용법이 바뀌는건가요?
(13) 전문가의 조언에서 txt조회의 값이 문자인지 숫자인지 확인하라고 했는데 컨트롤 원본도 비어있고 행 원본도 비어있으니 입력되는 값을 보고 유추할 수 밖에 없는데 매출수량이니숫자구나. 해서 답안의 txt조회에서 홀따옴표 를 뺀건가요? 그럼 만약에 매출수량이 txt조회인 것을 작성하시오 일때도 txt조회는 숫자이니 "매출수량=" txt조회로 만들어야하는건가요? 갑자기 너무 복잡해지는데;;;
(14) 문제 4-3
상품매출쿼리 작성
not in이 not in (select * from 테이블) 으로 불일치검색 쿼리에만 쓰이는줄알았는데 아니네요.. 그럼 not in ()은 "가로안에 것이 "아니거나 없는" 이라는 뜻인가요?
상품매출쿼리 작성
not in이 not in (select * from 테이블) 으로 불일치검색 쿼리에만 쓰이는줄알았는데 아니네요.. 그럼 not in ()은 "가로안에 것이 "아니거나 없는" 이라는 뜻인가요?
(15) 문제 4-4 삭제 프로시저 작성
docmd.runsql "delete * from 상품 where 여기까지는 알겠는데요.
그 후.. 상품코드 not in(select 상품코드 from 매출관리)" 가 이해가 안되네요. 뭐가 이해가 안되냐면
docmd.runsql "delete * from 상품 where 여기까지는 알겠는데요.
그 후.. 상품코드 not in(select 상품코드 from 매출관리)" 가 이해가 안되네요. 뭐가 이해가 안되냐면
왜 처음에 상품코드가 들어가있는가? 또 select 다음에도 왜 상품코드가 오는가? 모든 데이터인 *이 쓰여야하는게 아닌가요?
이건 조건에 상품코드가 아닌 것이라는 식의 설명도 없어서 알기가 어렵네요.. 혹시나싶어 매출관리 레코드원본을 보아도 상품코드가 아니구요. 상품코드로 인해 구별이 되니 상품코드가 쓰인다. 라고 생각해도
왜 상품코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삭제해야되는지도 의문이구요.. 조건에선 단지 매출관리에 없는 상품이란 말밖에 없는데 흠.. 이거 너무 복잡하네요;;
이건 조건에 상품코드가 아닌 것이라는 식의 설명도 없어서 알기가 어렵네요.. 혹시나싶어 매출관리 레코드원본을 보아도 상품코드가 아니구요. 상품코드로 인해 구별이 되니 상품코드가 쓰인다. 라고 생각해도
왜 상품코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삭제해야되는지도 의문이구요.. 조건에선 단지 매출관리에 없는 상품이란 말밖에 없는데 흠.. 이거 너무 복잡하네요;;
제가 액세스가 취약해서 질문이 너무 많아 죄송할 따름이네요;; 이번주말에 재시험인데 빨랑 합격해서
귀찮게안해드릴께욤 ㅜ
답변
2011-08-12 09:46:55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액세스 기본 모의고사 2회
(1) 문제 4-3 최고매출 쿼리 작성
조건이 "합계가 가장 많은 거래처의 거래처,상호,합계 표시" 라고 하였는데요.
합계가 많은 "거래처"라고 했으니 거래처의 조건에 Select 구문을 넣어야하는거 아닌가요?
왜 합계에 들어가는지..
-> 문제를 보면 '업체별내역' 쿼리에서 합계가 가장 많은 거래처를 표시하라고 했습니다. '합계가 가장 많은 ' 이것이 조건이 되므로 합계 열에 조건을 지정한 것입니다.
본문 151p
(2) 151p 에 삽입 SQL문이 나왔는데 전번에 풀었던 문제는 insert into 테이블(필드명) values(개체명) 이었는데 여기 소개된 것은 values가 아닌 select로 시작이 되네요? 어떤 경우에 각각 사용되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 insert는 두 경우가 있습니다. 레코드 하나씩 입력할 때는 insert into 테이블 이름(필드이름1, 필드이름2, ....) values(필드값1, 필드값2, ....), 테이블 단위로 추가할 때는 'insert into 테이블이름(필드1, 필드2, ....), select 필드이름 from 테이블이름 where 조건' 형식을 사용합니다.
(3) 151p DELETE SQL문 보면 조건이 "제품명이 1,2,3,4 " 제품명이 여러개라는 것을 "필드 in (필드명1,필드명2,필드명3)" 해주셨는데요.
그렇다면 위와 같은 and 조건이 아닌 or조건이라면 어떻게 되나요? 뭐 예를 들면 제품명이 한화이거나 삼성이거나 라면 말예요.. 필드 in(한화 or 삼성) 이렇게 되는건가요?
그렇다면 위와 같은 and 조건이 아닌 or조건이라면 어떻게 되나요? 뭐 예를 들면 제품명이 한화이거나 삼성이거나 라면 말예요.. 필드 in(한화 or 삼성) 이렇게 되는건가요?
-> in는 and 조건이 아니라 or조건입니다. in("한화","삼성")는 한화이거나 삼성을 찾습니다.
(3) 비쥬얼 베이직에서 폰트 관련된걸 정리하고 있는데요.
사이즈 = target.font.size = 11
색깔 = target.font.color = vbred
폰트변경=target.font.name="굴림체" 이렇게 했는데.. 맞는지 모르겠네요.
색깔 = target.font.color = vbred
폰트변경=target.font.name="굴림체" 이렇게 했는데.. 맞는지 모르겠네요.
그럼 폰트 스타일을 바꿔주려면 target.font.style = "기울임" 하면되나요? 굵게도 마찬가지로
target.font.style = "굵게" 이렇게..?
-> target.font.italic=true
target.font.bold=true 이런식으로 해야 합니다.
액세스 기본모의고사 3회
(4) 문제 1-3 지역코드에 s-0001과 s-0010이 입력되게 문제인데요. 이 둘은 문자죠..
그럼 숫자가 입력되게 between 숫자 and 숫자 이렇게 따옴표를 제거하고 넣어주면 되나요?
-> s-0001 처럼 문자가 아닌 숫자일떄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물어보시는건가요? 그렇다면 맞습니다.
(5) 문제 1-3-1
여기서 지역코드가 기본키가 안되있어! 라고 친절하게 설명해주는데요. 기억을 더듬어보면 이따금씩 무엇이 기본키인지 설명을 안해줄 때가 있던 것 같아요. 그럴땐 어떻게 찾아야하나요?
-> 테이블을 직접 열어서 중복된 값이 입력되는 않은 필드를 직접 확인하여 지정해 주면 됩니다. 기본키인 필드를 보면 대부분 ~코드, ~번호인 경우입니다.
(6) 검토할시에 매번 보기,디자인모드 클릭하자니 번거로운데 혹시 보기,디자인모드의 단축키는 없을까요.
-> 제가 알고 있는 범위내에서는 없습니다.
(7) 문제 1-2
입력마스크에 < 써놓고는 무심코 작업하다가 액세스 메모리 오류가 떠서 차근차근 뒤져보니 이걸 형식에다 입력해야하더군요.
본문 설명보니 입력마스크는 빠른입력을 위한 것, 형식은 화면에 표시되는 모양이라고 하셨는데요.
그럼 이 문제에 "소문자로 표시되도록" 이 것을 보고 아 표시니까 형식이구나. 해서 형식에 입력하면 되는걸까요?
입력마스크에 < 써놓고는 무심코 작업하다가 액세스 메모리 오류가 떠서 차근차근 뒤져보니 이걸 형식에다 입력해야하더군요.
본문 설명보니 입력마스크는 빠른입력을 위한 것, 형식은 화면에 표시되는 모양이라고 하셨는데요.
그럼 이 문제에 "소문자로 표시되도록" 이 것을 보고 아 표시니까 형식이구나. 해서 형식에 입력하면 되는걸까요?
-> 입력 마스크의 경우는 '데이터를 입력할 때' 할때라는 말이 반드시 들어갑니다. '데이터를 입력될 때 ~~와 같이 표시되도록 하시오'라고 했는데 '표시되도록'이라는 글자만 보고 형식으로 지정하면 안되겠죠.
(8) 문제 2-3
조건에 "cmb상품코드"의 값에 해당하는 내역만 표시하라했습니다. cmb상품코드의 위치는 현재 작업중인
조건에 "cmb상품코드"의 값에 해당하는 내역만 표시하라했습니다. cmb상품코드의 위치는 현재 작업중인
매출현황관리 폼이고요. 저는 그래서 조건을 "상품코드='"& cmb상품코드 &"'"형식으로 만들었는데 답안을 보니
[상품코드]=[forms]![매출현황관리]![cmb상품코드] 로 쓰였더라구요? 저는 여태 이런 형식은 다른 폼의 데이터가 조건일때 작성하는건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였나봅니다;; 어떨때는 전자이고 어떨때는 후자인지 설명부탁드려요!
이게 오늘 질문의 최대궁금점!! +_+
-> 이벤트 프로시저를 이용하여 작성하는 것이라면 "상품코드='"& cmb상품코드 &"'"로 작성하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여기서는 매크로를 이용하여 작성하는 것이므로 [상품코드]=[forms]![매출현황관리]![cmb상품코드] 이렇게 위치를 지정해준 것입니다. 이벤트 프로시저로 작성하면 해당 폼에 같이 저장되므로 해당 컨트롤의 위치를 지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매크로의 경우는 해당 폼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매크로만 따로 저장이 됩니다. 폼이 실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해당 매크로를 더블클릭해서도 매크로를 실행할 수 있죠. 이렇기 때문에 매크로에서 특정 컨트롤을 조건으로 지정할 떄는 반드시 해당 컨트롤이 있는 폼의 위치를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9) 문제 3-1-2
선 컨트롤은 페이지 머리글과 동일하다고해서 2개 만들고 설정을 페이지 머리글의 것을 가져다 손수 입력해줬는데요. 그냥 페이지 머리글의 선 컨트롤을 복사+붙여넣기해도 될까요?
-> 문제에 보면 '선(페이지 머리글과 동일)'이라고 되어 있으니 복사해서 사용해도 됩니다.
(10) 또 제가 만든 그림 보시면
이게 삐뚤삐뚤 제각각 크기도 달라서 보기 안좋은데 크기들을 일정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서식의 가로간격 조절,세로간격 조절 만져봤는데 이건아니구;
-> 해당 컨트롤을 모두 선택한 후 [서식]-[맞춤]에서 위쪽을 선택하여 정렬해 주면 됩니다.
(11) 그리고 순이익은 <매출액-제조경비> 인데요. 다른 곳은 전부 순이익을 지칭할때 [매출액]-[제조경비]로 해야만하는데 txt평가에 iif 함수에는 txt순이익이 되더라구요? 어떨때는 인식하고 못하고..원래 함수로 쓰일때는 인식할 수 있는 건가요?
-> 함수에 따라 다른 것이 아니라 사용하는 위치에 따라 약간 다른 것입니다.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우니 직접 해보고 실행되는지 확인하면 됩니다.
(12) 문제 3-2
Me.Filter = "매출수량>='" & txt조회 & "'" 전 이렇게 작성했는데 답안을 보니 "매출수량>=" & txt조회 더라구요. 이런건 또 처음보는데 원래 >, < 와 같은 등호가 쓰일때는 따옴표 사용법이 바뀌는건가요?
Me.Filter = "매출수량>='" & txt조회 & "'" 전 이렇게 작성했는데 답안을 보니 "매출수량>=" & txt조회 더라구요. 이런건 또 처음보는데 원래 >, < 와 같은 등호가 쓰일때는 따옴표 사용법이 바뀌는건가요?
-> 매출수량에 들어 있는 값이 숫자냐, 문자냐에 따라 다릅니다. 문자일때는 님과 같이 작성해야 하고, 숫자의 경우는 교재처럼 작성하면 됩니다. 이 문제의 경우는 매출수량이 숫자입니다.
(13) 전문가의 조언에서 txt조회의 값이 문자인지 숫자인지 확인하라고 했는데 컨트롤 원본도 비어있고 행 원본도 비어있으니 입력되는 값을 보고 유추할 수 밖에 없는데 매출수량이니숫자구나. 해서 답안의 txt조회에서 홀따옴표 를 뺀건가요? 그럼 만약에 매출수량이 txt조회인 것을 작성하시오 일때도 txt조회는 숫자이니 "매출수량=" txt조회로 만들어야하는건가요? 갑자기 너무 복잡해지는데;;;
-> 매출수량이 들어 있는 테이블을 직접 열어서 확인하면 됩니다. 매출수량이 어느 테이블에 있는지 모른다면 해당 폼의 레코드 원본을 확인해 보면 됩니다.
(14) 문제 4-3
상품매출쿼리 작성
not in이 not in (select * from 테이블) 으로 불일치검색 쿼리에만 쓰이는줄알았는데 아니네요.. 그럼 not in ()은 "가로안에 것이 "아니거나 없는" 이라는 뜻인가요?
상품매출쿼리 작성
not in이 not in (select * from 테이블) 으로 불일치검색 쿼리에만 쓰이는줄알았는데 아니네요.. 그럼 not in ()은 "가로안에 것이 "아니거나 없는" 이라는 뜻인가요?
-> in ( )은 괄호안에 들어 있는 데이터를, not in ( )은 괄호안에 들어있는 데이터의 반대, 즉 괄호안에 들어 있지 않은 것을 검색합니다.
(15) 문제 4-4 삭제 프로시저 작성
docmd.runsql "delete * from 상품 where 여기까지는 알겠는데요.
그 후.. 상품코드 not in(select 상품코드 from 매출관리)" 가 이해가 안되네요. 뭐가 이해가 안되냐면
docmd.runsql "delete * from 상품 where 여기까지는 알겠는데요.
그 후.. 상품코드 not in(select 상품코드 from 매출관리)" 가 이해가 안되네요. 뭐가 이해가 안되냐면
왜 처음에 상품코드가 들어가있는가? 또 select 다음에도 왜 상품코드가 오는가? 모든 데이터인 *이 쓰여야하는게 아닌가요?
이건 조건에 상품코드가 아닌 것이라는 식의 설명도 없어서 알기가 어렵네요.. 혹시나싶어 매출관리 레코드원본을 보아도 상품코드가 아니구요. 상품코드로 인해 구별이 되니 상품코드가 쓰인다. 라고 생각해도
왜 상품코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삭제해야되는지도 의문이구요.. 조건에선 단지 매출관리에 없는 상품이란 말밖에 없는데 흠.. 이거 너무 복잡하네요;;
이건 조건에 상품코드가 아닌 것이라는 식의 설명도 없어서 알기가 어렵네요.. 혹시나싶어 매출관리 레코드원본을 보아도 상품코드가 아니구요. 상품코드로 인해 구별이 되니 상품코드가 쓰인다. 라고 생각해도
왜 상품코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삭제해야되는지도 의문이구요.. 조건에선 단지 매출관리에 없는 상품이란 말밖에 없는데 흠.. 이거 너무 복잡하네요;;
-> 상품 테이블과 매출관리 테이블을 연결해 주는 필드가 상품코드이므로, 매출관리 테이블에서 상품코드를 검색한 후, 이 검색한 결과에 포함되지 않은 상품코드를 상품 테이블에서 검색한 것입니다. '매출관리' 테이블에 기록되지 않은 상품이 판매되지 않은 상품이라고 하였으니 매출관리에서 상품코드로 판매된 상품을 검색하여, 이 검색한 상품코드에 들어있지 않은 상품코드를 상품 테이블에서 찾은 것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2011-08-12 09:46:55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액세스 기본 모의고사 2회
(1) 문제 4-3 최고매출 쿼리 작성
조건이 "합계가 가장 많은 거래처의 거래처,상호,합계 표시" 라고 하였는데요.합계가 많은 "거래처"라고 했으니 거래처의 조건에 Select 구문을 넣어야하는거 아닌가요?왜 합계에 들어가는지..-> 문제를 보면 '업체별내역' 쿼리에서 합계가 가장 많은 거래처를 표시하라고 했습니다. '합계가 가장 많은 ' 이것이 조건이 되므로 합계 열에 조건을 지정한 것입니다.본문 151p(2) 151p 에 삽입 SQL문이 나왔는데 전번에 풀었던 문제는 insert into 테이블(필드명) values(개체명) 이었는데 여기 소개된 것은 values가 아닌 select로 시작이 되네요? 어떤 경우에 각각 사용되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insert는 두 경우가 있습니다. 레코드 하나씩 입력할 때는 insert into 테이블 이름(필드이름1, 필드이름2, ....) values(필드값1, 필드값2, ....), 테이블 단위로 추가할 때는 'insert into 테이블이름(필드1, 필드2, ....), select 필드이름 from 테이블이름 where 조건' 형식을 사용합니다.(3) 151p DELETE SQL문 보면 조건이 "제품명이 1,2,3,4 " 제품명이 여러개라는 것을 "필드 in (필드명1,필드명2,필드명3)" 해주셨는데요.
그렇다면 위와 같은 and 조건이 아닌 or조건이라면 어떻게 되나요? 뭐 예를 들면 제품명이 한화이거나 삼성이거나 라면 말예요.. 필드 in(한화 or 삼성) 이렇게 되는건가요?-> in는 and 조건이 아니라 or조건입니다. in("한화","삼성")는 한화이거나 삼성을 찾습니다.(3) 비쥬얼 베이직에서 폰트 관련된걸 정리하고 있는데요.사이즈 = target.font.size = 11
색깔 = target.font.color = vbred
폰트변경=target.font.name="굴림체" 이렇게 했는데.. 맞는지 모르겠네요.그럼 폰트 스타일을 바꿔주려면 target.font.style = "기울임" 하면되나요? 굵게도 마찬가지로target.font.style = "굵게" 이렇게..?-> target.font.italic=truetarget.font.bold=true 이런식으로 해야 합니다.액세스 기본모의고사 3회(4) 문제 1-3 지역코드에 s-0001과 s-0010이 입력되게 문제인데요. 이 둘은 문자죠..그럼 숫자가 입력되게 between 숫자 and 숫자 이렇게 따옴표를 제거하고 넣어주면 되나요?-> s-0001 처럼 문자가 아닌 숫자일떄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물어보시는건가요? 그렇다면 맞습니다.(5) 문제 1-3-1여기서 지역코드가 기본키가 안되있어! 라고 친절하게 설명해주는데요. 기억을 더듬어보면 이따금씩 무엇이 기본키인지 설명을 안해줄 때가 있던 것 같아요. 그럴땐 어떻게 찾아야하나요?-> 테이블을 직접 열어서 중복된 값이 입력되는 않은 필드를 직접 확인하여 지정해 주면 됩니다. 기본키인 필드를 보면 대부분 ~코드, ~번호인 경우입니다.(6) 검토할시에 매번 보기,디자인모드 클릭하자니 번거로운데 혹시 보기,디자인모드의 단축키는 없을까요.-> 제가 알고 있는 범위내에서는 없습니다.(7) 문제 1-2
입력마스크에 < 써놓고는 무심코 작업하다가 액세스 메모리 오류가 떠서 차근차근 뒤져보니 이걸 형식에다 입력해야하더군요.
본문 설명보니 입력마스크는 빠른입력을 위한 것, 형식은 화면에 표시되는 모양이라고 하셨는데요.
그럼 이 문제에 "소문자로 표시되도록" 이 것을 보고 아 표시니까 형식이구나. 해서 형식에 입력하면 되는걸까요?-> 입력 마스크의 경우는 '데이터를 입력할 때' 할때라는 말이 반드시 들어갑니다. '데이터를 입력될 때 ~~와 같이 표시되도록 하시오'라고 했는데 '표시되도록'이라는 글자만 보고 형식으로 지정하면 안되겠죠.(8) 문제 2-3
조건에 "cmb상품코드"의 값에 해당하는 내역만 표시하라했습니다. cmb상품코드의 위치는 현재 작업중인매출현황관리 폼이고요. 저는 그래서 조건을 "상품코드='"& cmb상품코드 &"'"형식으로 만들었는데 답안을 보니[상품코드]=[forms]![매출현황관리]![cmb상품코드] 로 쓰였더라구요? 저는 여태 이런 형식은 다른 폼의 데이터가 조건일때 작성하는건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였나봅니다;; 어떨때는 전자이고 어떨때는 후자인지 설명부탁드려요!이게 오늘 질문의 최대궁금점!! +_+-> 이벤트 프로시저를 이용하여 작성하는 것이라면 "상품코드='"& cmb상품코드 &"'"로 작성하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여기서는 매크로를 이용하여 작성하는 것이므로 [상품코드]=[forms]![매출현황관리]![cmb상품코드] 이렇게 위치를 지정해준 것입니다. 이벤트 프로시저로 작성하면 해당 폼에 같이 저장되므로 해당 컨트롤의 위치를 지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매크로의 경우는 해당 폼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매크로만 따로 저장이 됩니다. 폼이 실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해당 매크로를 더블클릭해서도 매크로를 실행할 수 있죠. 이렇기 때문에 매크로에서 특정 컨트롤을 조건으로 지정할 떄는 반드시 해당 컨트롤이 있는 폼의 위치를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9) 문제 3-1-2
선 컨트롤은 페이지 머리글과 동일하다고해서 2개 만들고 설정을 페이지 머리글의 것을 가져다 손수 입력해줬는데요. 그냥 페이지 머리글의 선 컨트롤을 복사+붙여넣기해도 될까요?-> 문제에 보면 '선(페이지 머리글과 동일)'이라고 되어 있으니 복사해서 사용해도 됩니다.
(10) 또 제가 만든 그림 보시면이게 삐뚤삐뚤 제각각 크기도 달라서 보기 안좋은데 크기들을 일정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서식의 가로간격 조절,세로간격 조절 만져봤는데 이건아니구;-> 해당 컨트롤을 모두 선택한 후 [서식]-[맞춤]에서 위쪽을 선택하여 정렬해 주면 됩니다.(11) 그리고 순이익은 <매출액-제조경비> 인데요. 다른 곳은 전부 순이익을 지칭할때 [매출액]-[제조경비]로 해야만하는데 txt평가에 iif 함수에는 txt순이익이 되더라구요? 어떨때는 인식하고 못하고..원래 함수로 쓰일때는 인식할 수 있는 건가요?-> 함수에 따라 다른 것이 아니라 사용하는 위치에 따라 약간 다른 것입니다.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우니 직접 해보고 실행되는지 확인하면 됩니다.(12) 문제 3-2
Me.Filter = "매출수량>='" & txt조회 & "'" 전 이렇게 작성했는데 답안을 보니 "매출수량>=" & txt조회 더라구요. 이런건 또 처음보는데 원래 >, < 와 같은 등호가 쓰일때는 따옴표 사용법이 바뀌는건가요?-> 매출수량에 들어 있는 값이 숫자냐, 문자냐에 따라 다릅니다. 문자일때는 님과 같이 작성해야 하고, 숫자의 경우는 교재처럼 작성하면 됩니다. 이 문제의 경우는 매출수량이 숫자입니다.(13) 전문가의 조언에서 txt조회의 값이 문자인지 숫자인지 확인하라고 했는데 컨트롤 원본도 비어있고 행 원본도 비어있으니 입력되는 값을 보고 유추할 수 밖에 없는데 매출수량이니숫자구나. 해서 답안의 txt조회에서 홀따옴표 를 뺀건가요? 그럼 만약에 매출수량이 txt조회인 것을 작성하시오 일때도 txt조회는 숫자이니 "매출수량=" txt조회로 만들어야하는건가요? 갑자기 너무 복잡해지는데;;;-> 매출수량이 들어 있는 테이블을 직접 열어서 확인하면 됩니다. 매출수량이 어느 테이블에 있는지 모른다면 해당 폼의 레코드 원본을 확인해 보면 됩니다.(14) 문제 4-3
상품매출쿼리 작성
not in이 not in (select * from 테이블) 으로 불일치검색 쿼리에만 쓰이는줄알았는데 아니네요.. 그럼 not in ()은 "가로안에 것이 "아니거나 없는" 이라는 뜻인가요?-> in ( )은 괄호안에 들어 있는 데이터를, not in ( )은 괄호안에 들어있는 데이터의 반대, 즉 괄호안에 들어 있지 않은 것을 검색합니다.(15) 문제 4-4 삭제 프로시저 작성
docmd.runsql "delete * from 상품 where 여기까지는 알겠는데요.
그 후.. 상품코드 not in(select 상품코드 from 매출관리)" 가 이해가 안되네요. 뭐가 이해가 안되냐면왜 처음에 상품코드가 들어가있는가? 또 select 다음에도 왜 상품코드가 오는가? 모든 데이터인 *이 쓰여야하는게 아닌가요?
이건 조건에 상품코드가 아닌 것이라는 식의 설명도 없어서 알기가 어렵네요.. 혹시나싶어 매출관리 레코드원본을 보아도 상품코드가 아니구요. 상품코드로 인해 구별이 되니 상품코드가 쓰인다. 라고 생각해도
왜 상품코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삭제해야되는지도 의문이구요.. 조건에선 단지 매출관리에 없는 상품이란 말밖에 없는데 흠.. 이거 너무 복잡하네요;;-> 상품 테이블과 매출관리 테이블을 연결해 주는 필드가 상품코드이므로, 매출관리 테이블에서 상품코드를 검색한 후, 이 검색한 결과에 포함되지 않은 상품코드를 상품 테이블에서 검색한 것입니다. '매출관리' 테이블에 기록되지 않은 상품이 판매되지 않은 상품이라고 하였으니 매출관리에서 상품코드로 판매된 상품을 검색하여, 이 검색한 상품코드에 들어있지 않은 상품코드를 상품 테이블에서 찾은 것입니다.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