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이
txt납부금합계에는 성별이 "여"인 고객의 납부금 합계가 표시되도록 설정
- 성별이 "여"인 고객의 납부금 합계는 수강고객현황 쿼리와 Dsum()함수를 이용
이것이고
정답을 보면 Dsum("납부금"."수강고객현황","성별=여")라고 되어있습니다
근데 Dsum 함수의 형식이 Dsum(범위,열번호,조건)으로 알고 있는데
그러면 Dsum("수강고객현황","납부금","성별=여")가 되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엑세스에서의 Dsum은 엑셀과는 다른건가요?
물론 액세스와 엑셀의 함수 사용법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같은 함수명을 사용한다고 해서 그 인자까지 같을 것이다라로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따라서, 액세스와 엑셀의 함수는 구분해서 알아두셔야 됩니다.
액세스에서 위의 함수를 해석하면 수강고객현황 쿼리나 테이블에서 성별필드가 여인 레코드의 납부금 필드의 합계를 구하는 것입니다.
-
*2011-08-07 21:31:52
물론 액세스와 엑셀의 함수 사용법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같은 함수명을 사용한다고 해서 그 인자까지 같을 것이다라로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따라서, 액세스와 엑셀의 함수는 구분해서 알아두셔야 됩니다.
액세스에서 위의 함수를 해석하면 수강고객현황 쿼리나 테이블에서 성별필드가 여인 레코드의 납부금 필드의 합계를 구하는 것입니다.
-
*2011-08-08 14:17:02
엑세스에서는
dsum("찾을값이있는필드명","테이블/쿼리","조건")
으로 사용합니다.
납부금의 합계를 구하므로 찾을값이 있는 필드명에는 "납부금"을
테이블/쿼리는 문제에서 제시한 수강현황쿼리를 쓰시면되고
조건은 성별이 여인 이니깐 "성별='여'" 와 같이 쓰시면 되는 것입니다.
d가 들어가는 도메인 함수(엑세스에서는 데이터 베이스 함수가 아니라 도메인 함수라고 부릅니다.)는
dsum("찾을값이있는필드명","테이블/쿼리","조건")
이렇게 쓰인다 라고 생각 하시면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