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내용이 아닌데 여기다 질문드려도 될랑가 모르겠네요.
답변을 보고 따라했는데 ... 을 클릭하니 "이 연결을 사용하려면 거래처코드 필드를 레코드 원본에 추가해야합니다." 라고 나오네요;; 확인누르면 그냥 지나가긴하는데.. 이게 정상인가요?
DB함수.. (Dcount따위..)의 사용법이 (인수,도메인,조건)인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db 함수 요거 정말 아리송하네요.. 저번에도 비슷한 질문 드렸던 것같은데..
제가 만든 답이 이겁니다. =dcount("판매건수",판매쿼리,"=txt거래처명")
주어진 답은 =dcount("판매일자","판매쿼리","거래처명=txt거래처명") 이구요..
도메인 = 주어진 테이블
조건 = ?? (개념없이 대충해와서;;)
나오는지 모르겠습니다 ㅜ_ㅜ
검색해보니 제가 저번에도 이와 같은 질문을 했었네요;; 그때 "구할 값이 있는 필드" 라고 답변해주셨는데 그래도 이해가 안가네요 멍청이 ㅜ_ㅜ
판매일자 필드에 판매건수가 있는건가요..? @_@;;
그리고 조건부분은 "??=txt거래처명" 에서 ?? 은 txt거래처명의 컨트롤 원본을 넣어주는걸로 이해하고 있는데 그게 맞는건가요? 혹시 맞다면 좀더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dimm 이건 처음 보는거라 검색도 해보고 여기저기 찾아보니 변수선언이라고 하더군요.
해서 나름대로 이해해보려 애를 써봤는데.. 이렇게 이해한게 맞나 좀 봐주셨으면 합니다!
if aa=vbyes then <-- aa는 예를 클릭하는 작업이다! 맞는 것같기도 하고.. @_@;;
헌데 제가 직접 만들어도 그렇고 답안을 보고 만들어서 실행을 해보면 메시지 상자는 잘 뜨는데
예를 눌러도 거래처별 판매정보 폼이 종료가 안되더라구요. 하아..OTL
엑세스 오류인걸까요 제가 뭘 잘못만든걸까요?
(4) 조회및 출력 1번의 2번 문제 질문입니다.
본문의 txt 순번 컨트롤에는 그룹별로 일련번호가 표시되도록 설정. 이게 대체 무슨말인지;;
답안을 보니 원본=1
누적합게 = 그룹 이라는데 누적합계가 뭔가요? 책에선 못봤던거같은데;;
또, 일련번호가 표시되도록 이게 =1 인가요? 그렇다면 왜 =1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cmb거래처찾기 컨트롤에 설정된 거래처의 데이터만 표시되도록 설정할 것이라 되있습니다.
me.filter = "AA='"cmb& 거래처찾기 &"'"
me.filteron = true
형식이 이런것은 알겠는데 AA에 뭐가 들어가는지 도통 모르겠습니다;;
이건 "보기" 상태에서 cmb거래처찾기를 열어 나온 것의 종류를 보고 제가 유추해야하는건가요?
예를 들면 열었더니 삼성,한화가 나오니까 아 거래처명이구나. 이런식으로??;;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기본 폼에 하위 폼을 연결하면 기본적으로 두 폼에 공통적으로 들어가 있는 필드로 자동 연결됩니다. 간혹 이것을 없애고, 연결하라는 문제가 나오기는 하지만 이것 또한 하위 폼의 속성 창에서 기본 필드 연결 또는 하위 필드 연결의 작성기 단추를 클릭하면 표시되는 '하위 폼 필드 연결기'에서 실행하면 자동으로 표시됩니다. 이렇게 되지 않을 때는 기본 필드와 하위 필드에 공통으로 들어가 있는 필드를 지정해 주면 됩니다.
2. dcount 함수는 조건에 만족하는 개수를 구하는 것으로 어떤 필드든 비어있지 않은 필드를 지정하기만 하면 됩니다.
3. dim은 특정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변수를 선언하는 명령문입니다.
dim aa aa라는 변수를 선언합니다.
if aa=vbyes then <- aa 변수에 들어 있는 값이 vbyes, 즉 yes이면 다음 문장을 실행하라는 것입니다.
메시지 박스를 실행하고, 시지 박스에서 특정 버튼을 선택하면 해당 값을 aa 변수에 넣은 후 aa변수에 입력된 값이 vbyes, 즉 yes이면 docmd.close를 실행하여 폼을 닫으라는 명령입니다.
4. 책에도 있는 내용입니다. 텍스트 상자에 =1을 입력하고 누적 합계를 그룹으로 지정하면 그룹별로 1, 2, 3 1, 2, 3, 이런식으로 표시되고 '모두'로 지정하면 전체에 대해 1, 2, 3, 4, 5, 6 이런 식으로 일련번호가 표시됩니다. 교재 중 09년2회 문제에도 이 내용이 있네요. 참고하세요.
5. 네 맞습니다.
6. 그림 상으로는 잘못된 것이 없는듯 합니다. 님이 작성한 액세스 파일을 올려주세요. 그래야만 결과값이 왜 다르게 나오는지 알수가 있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1-07-26 09:50:35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기본 폼에 하위 폼을 연결하면 기본적으로 두 폼에 공통적으로 들어가 있는 필드로 자동 연결됩니다. 간혹 이것을 없애고, 연결하라는 문제가 나오기는 하지만 이것 또한 하위 폼의 속성 창에서 기본 필드 연결 또는 하위 필드 연결의 작성기 단추를 클릭하면 표시되는 '하위 폼 필드 연결기'에서 실행하면 자동으로 표시됩니다. 이렇게 되지 않을 때는 기본 필드와 하위 필드에 공통으로 들어가 있는 필드를 지정해 주면 됩니다.
2. dcount 함수는 조건에 만족하는 개수를 구하는 것으로 어떤 필드든 비어있지 않은 필드를 지정하기만 하면 됩니다.
3. dim은 특정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변수를 선언하는 명령문입니다.
dim aa aa라는 변수를 선언합니다.
if aa=vbyes then <- aa 변수에 들어 있는 값이 vbyes, 즉 yes이면 다음 문장을 실행하라는 것입니다.
메시지 박스를 실행하고, 시지 박스에서 특정 버튼을 선택하면 해당 값을 aa 변수에 넣은 후 aa변수에 입력된 값이 vbyes, 즉 yes이면 docmd.close를 실행하여 폼을 닫으라는 명령입니다.
4. 책에도 있는 내용입니다. 텍스트 상자에 =1을 입력하고 누적 합계를 그룹으로 지정하면 그룹별로 1, 2, 3 1, 2, 3, 이런식으로 표시되고 '모두'로 지정하면 전체에 대해 1, 2, 3, 4, 5, 6 이런 식으로 일련번호가 표시됩니다. 교재 중 09년2회 문제에도 이 내용이 있네요. 참고하세요.
5. 네 맞습니다.
6. 그림 상으로는 잘못된 것이 없는듯 합니다. 님이 작성한 액세스 파일을 올려주세요. 그래야만 결과값이 왜 다르게 나오는지 알수가 있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