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페이지 맨밑그림에서 가져오기 버튼을 누르면
65페이지 4번 그림처럼 창이 떠야하는데 아무것도 뜨지않습니다.
"연결하기"도 마찬가지로 67페이지에 3번그림처럼 연결을 누르면 4번그림처럼 창이떠야하는데 그것도 뜨지않습니다.
왜그런 것인가요?
뒤에 기출따라잡기도 마찬가지로 창이 뜨지 않습니다 ㅠㅠ
--------------------------
그리고 96페이지에 3번에 3번그림 작성기단추를 클릭하면 하위폼필드 연결기창이 뜨지 않고
"언바운드 폼간에는 연결을 만들 수 없습니다." 라는 메세지가 뜹니다
어떻게 해야하나요
-------------------------------
또 궁금한 것이
78페이지에 8번에 12번그림의
DSum문에서는 " " 를 쓰고
94페이지의 8번에 1번그림이나
97페이지의 7번에 세개의 그림과
98페이지의 12번그림에서는 [ ]를 쓰는데
무슨 차이인가요??
----------------------------
마지막으로^^;
102페이지에 7번문제에 "표시형식: 접수건수:10" 이라되있고
109쪽 21번그림에는 =count(*) 라고 되어있는데
문제에서 10은 뭘 의미하는건가요?? 그냥 =count(*)라고만 적어도 되는건가요?
1. 질문만으로는 정확하게 잘 모르겠지만
오피스 프로그램상의 오류인것 같습니다.
오피스 프로그램을 제거 하셨다가 다시 설치하셔서 사용해 보세요.
2. 기본폼과 하위폼의 레코드 원본이 제대로 지정 되었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레코드 원본이 제대로 지정 되지 않으면 그런 메시지가 나타나게 됩니다.
3. dsum 과 같은 d가 들어가는 도메인 함수의 인수는 항상 " " 로 묶어서 표시 합니다.
dsum("찾을값이있는필드명","테이블","쿼리")
[]은 필드명이나 컨트롤 명에 오피스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붙여주는 것으로
sum(판매금액) 이라고 입력하면 자동으로 sum([판매금액])으로 변경해 줍니다.
이것이 변경되지 않고 그냥 사용되어도 정상적인 결과가 나온다면 그냥 두셔도 상관 없구요.
간혹 sum(판매금액) 이라고 입력했는데 []이 붙지 않고 sum("판매금액") 과 같이 문자로 표시 된다면 "" 를 지우고 []을 붙여 컨트롤명이나 필드명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해주시면 됩니다.
4. 그냥 접수건수가
접수건수 : 10 과 같이 나타나게 하라는 것으로 접수건수 : 이라는 문자는 레이블에 나타내고
10은 숫자 즉 레코드 개수를 세어서 10이든 5이든 4이든 나오게 하라는 것입니다. 보고서에 보시면 접수건수 : 옆의 숫자가 다 다른것을 알수 있죠.
=count(*) 는 개수를 세는데 레코드 전체의 개수를 세는 것입니다.
여기서는 그룹별로 나눠져 있기 때문에 그룹별 전체 개수를 세어 표시 해 주는 것이죠.
좋은 하루 되세요.
"-
*2011-07-19 10:00:05
1. 질문만으로는 정확하게 잘 모르겠지만
오피스 프로그램상의 오류인것 같습니다.
오피스 프로그램을 제거 하셨다가 다시 설치하셔서 사용해 보세요.
2. 기본폼과 하위폼의 레코드 원본이 제대로 지정 되었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레코드 원본이 제대로 지정 되지 않으면 그런 메시지가 나타나게 됩니다.
3. dsum 과 같은 d가 들어가는 도메인 함수의 인수는 항상 " " 로 묶어서 표시 합니다.
dsum("찾을값이있는필드명","테이블","쿼리")
[]은 필드명이나 컨트롤 명에 오피스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붙여주는 것으로
sum(판매금액) 이라고 입력하면 자동으로 sum([판매금액])으로 변경해 줍니다.
이것이 변경되지 않고 그냥 사용되어도 정상적인 결과가 나온다면 그냥 두셔도 상관 없구요.
간혹 sum(판매금액) 이라고 입력했는데 []이 붙지 않고 sum("판매금액") 과 같이 문자로 표시 된다면 "" 를 지우고 []을 붙여 컨트롤명이나 필드명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해주시면 됩니다.
4. 그냥 접수건수가
접수건수 : 10 과 같이 나타나게 하라는 것으로 접수건수 : 이라는 문자는 레이블에 나타내고
10은 숫자 즉 레코드 개수를 세어서 10이든 5이든 4이든 나오게 하라는 것입니다. 보고서에 보시면 접수건수 : 옆의 숫자가 다 다른것을 알수 있죠.
=count(*) 는 개수를 세는데 레코드 전체의 개수를 세는 것입니다.
여기서는 그룹별로 나눠져 있기 때문에 그룹별 전체 개수를 세어 표시 해 주는 것이죠.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