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page에 기출문제 따라잡기에서요~
[C3]:= DCOUNTA(B6:E11 , 2, B2:B3)
이잖아요~ 그런데 B2:B3 쓰는 곳이 조건을 쓰는 곳인데
조건이 중간고사보다 기말고사 성적이 향상됫다는 거잖아요
그러면 그 조건을 입력한 B3만 조건이라고 쓰면 왜 안되는거에요???ㅠㅠ
그리고 수식의 이해에서 두번째 2 대신 1.3.4중 하나 입력해도 된다는 말은 뭐죠???ㅠㅠ
d가 들어가는 데이터베이스 함수에서는 범위도 조건도 모두 필드명이 포함 되어야 합니다.
b2:b3에 보시면 b2에는 아무것도 입력되어 있지 않고 b3에는 입력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b2를 쓰는 것은 공백을 필드명으로 쓰기 위한 것입니다.
조건을 쓸때 true 나 false 가 나타나면 원본 데이터와 다른 필드명을 사용하여 가상의 필드를 만들어 그 가상의 필드에서 true 값만 가져오게 합니다.
이부분에 대한 설명이 고급필터 부분인 75페이지에 있습니다. 이 개념과 같은 것이니 확인 해 보세요.
dcounta 는 공백이 없는 곳의 개수를 세는 것이기때문에 모든 데이터가 같게 입력이 되어 있으면
어떤 열이든 개수가 같게 나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열 번호를 1,2,3,4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2011-07-13 10:04:26
d가 들어가는 데이터베이스 함수에서는 범위도 조건도 모두 필드명이 포함 되어야 합니다.
b2:b3에 보시면 b2에는 아무것도 입력되어 있지 않고 b3에는 입력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b2를 쓰는 것은 공백을 필드명으로 쓰기 위한 것입니다.
조건을 쓸때 true 나 false 가 나타나면 원본 데이터와 다른 필드명을 사용하여 가상의 필드를 만들어 그 가상의 필드에서 true 값만 가져오게 합니다.
이부분에 대한 설명이 고급필터 부분인 75페이지에 있습니다. 이 개념과 같은 것이니 확인 해 보세요.dcounta 는 공백이 없는 곳의 개수를 세는 것이기때문에 모든 데이터가 같게 입력이 되어 있으면
어떤 열이든 개수가 같게 나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열 번호를 1,2,3,4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
좋은 하루 되세요.